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스페셜
"
흡수
"(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美서 합법인 대마초, 뇌 보상시스템 망가뜨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20
에너지를 빨리 생산하게 한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유전자조작 담배는 이산화탄소
흡수
율이 11~14%, 광합성 효율이 14~20%까지 증가했다. 롱 교수는 “지금부터 식량부족을 대비해야 한다”며 “광합성 효율을 높일 방법을 게속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성인병의 주범? 소금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우리 몸은 신장을 통해 늘어난 물을 배출한다. 이 때 나트륨의 양이 많으면 신장에서 재
흡수
돼야 할 칼슘이 소변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하지만 사람들이 주목하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고혈압이다. 나트륨이 고혈압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 등 심뇌혈관 질환과 ... ...
표범의 추억
2016.11.08
활성산소가 많이 나와 DNA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단백질 소화와
흡수
에 관여하는 유전자 세 개도 바뀌었다. 다들 육식에 적응한 결과다. 바꿔 말하면 유전자에서 이런 변이가 일어나지 않은 사람이 지나치게 육식을 하면 암에 걸릴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결론으로 자연스럽게 ... ...
고산증 극복하고 말라리아에도 저항… 환경적응 유전자 ‘총정리’
동아사이언스
l
2016.10.09
말라리아에 저항성을 띠도록 변이가 일어났다. 북위도에선 피부가 자외선을 더 많이
흡수
하도록 색소 돌연변이가 일어났다. 심지어 독성물질에 적응하기 위한 돌연변이도 있다. 아르헨티나의 산안토니오 데 로스 코브레스 지역은 1만1000년 전부터 사람이 모여 살던 곳인데, 다른 지역에 비해 ... ...
지진에 가장 위험한 나라 15개 꼽아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6.10.03
인구가 적어 정책의 공론화 역시 쉽기 때문에 (도시 안전과 관련된) 새로운 전략도 더 잘
흡수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이언스 제공 네이처가 인간의 거주지인 도시를 다루었지만 ‘사이언스’는 대자연 속 동물의 생태계에 주목했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먼 곳을 응시하는 표범 ... ...
세균 싹~ 잡는다던 트리클로산, 왜 치약에서 사라졌을까
2016.07.31
사용이 금지돼 있다. 트리클로산은 최근 다른 의미로도 논란이 일고 있다. 체내에
흡수
돼 몸속의 미생물 생태계를 교란 시킨다는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블레이즈 볼즈 미국 미시건대 교수팀은 트리클로산을 사용하는 동안 사람의 혈청과 오줌, 모유 등에서 높은 농도의 트리클로산이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한다는 것이다. 우라늄 광석은 99% 이상이 우라늄238이고 이런 상태에서는 중성자가
흡수
되면서 반응이 멈추게 된다. 두 사람은 1939년 발표한 논문에서 당시 기술로 우라늄 광석에서 1% 미만인 우라늄235를 분리농축해서 폭탄을 만들 정도의 충분한 양을 얻으려면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 ...
자외선, 머리부터 발끝까지 차단이 필요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바르고 2시간 간격으로 덧발라야 자외선 차단제는 외출 15분 전에 발라 피부에 충분히
흡수
시킨 뒤 나가야 효과적이다. 바른 직후 밖으로 나가면 햇볕에 증발해 효과가 떨어진다. 또 땀이나 옷으로 지워지기 때문에 2시간 간격으로 덧발라주는 것이 좋다. 외출 후에는 자외선 차단제가 피부에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채소 역시 저자가 직접 맨손으로 집어 천 봉투에 담았다. 또 사료와 물에서 화합물을
흡수
하는 가축에서 얻는 육류는 물론 비닐에 싸여 있는 치즈도 피했다. 그 결과 3일 동안 저자의 몸무게가 1.5킬로그램이나 줄었다! 과연 이런 생활을 30일, 300일 동안 지속할 수 있을까? 최근 가습기살균제 문제가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깔끔하게 절단한 단면을 얻기가 매우 어렵다. 2) 꽃잎에 색소가 엄청나게 많다(논문의
흡수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절단면을 만들 때 색소가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 꼭 피를 흘리는 것처럼 됐다. 그 결과 사진이 뭉개졌다. 그럼에도 이 종의 경우 색소의 분포가 그 자체로 큰 의미는 없다고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