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념
체념
자포자기
기권
추방
공공연히 버리기
절망
스페셜
"
포기
"(으)로 총 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년대계가 낳은 값진 열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높은 성과를 얻었다면 무언가는
포기
했다는 뜻이다. 한국형 해양예측모델의 경우에는
포기
한 것이 바로 해상도였다. 그 결과 돌고래호 실종자들의 표류지점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한 것이다. “지금 2km 수준인 해상도를 300m로 높이려면 엄청나게 많은 연산이 필요해요. 산술적으로 보면 약 7배 정도 ... ...
섬 모양을 통해 새로운 상상력 발현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구매해야만 섬의 모양을 확실히 구별할 수 있던 시기였다. 섬 모양 찾기는 이렇게
포기
하나 싶었는데, 2010년 국내 포털사이트에서 국내 지형의 항공사진을 제공하면서 작업을 계속 이어나가게 되었다. 포털 사이트의 항공사진을 통해 여러 섬의 모양을 다양한 각도에서 관찰하면서 비슷한 동물이나 ... ...
“깨끗한 바다를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기술이전을 제안하더라도 ‘기술료 중 일시납 금액’에 대한 부담을 느껴서 이전받기를
포기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기술이전이 상생을 위한 제도인만큼 다른 제도들이 상생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요? 마지막으로 향후 계획과 포부에 대해 부탁드립니다. 2016년 8월 1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1632년 ‘천문대화’라는 책을 펴낸 갈릴레이는 이듬해 로마로 소환돼 구금됐다가 지동설
포기
를 서약하고 나서야 사면됐다. 당시 갈릴레이가 했다는 혼잣말 ‘그래도 지구는 돈다…’는 가톨릭의 과학계 탄압을 상징하는 말로 남아있다. 로마 교황청은 1992년에야 갈릴레이를 사면했다. 이 소식을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논문은 심사위원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쳤고 싸움에 지친 츠바이크는 논문 게재를
포기
했다. 결국 논문은 16년이 지난 1980년 발간된 쿼크회고자료집에 실렸다. 쿼크를 물리적 실체라기보다는 수학적 기법이라고 생각했던 겔만과는 달리 츠바이크는 처음부터 쿼크가 물리적 실체라고 강하게 ... ...
“일방에서 호혜적 관계로”성공적이나 해결할 과제도 많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23
적용하고 있다. 핵무기가 확산되지 않도록 우라늄 농축이나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기
해야 한다는 기준이다. 그러나 이번 개정에서는 한국에 골드 스탠다드를 적용하지 않았음에 유의해야할 것이다. 황일순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 이번 개정은 생각보다 잘 풀렸다고 본다. 우선 ... ...
호혜적 동반자 관계를 향한 큰 걸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23
등 강력한 핵비확산 의지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골드 스탠다드란 타국의‘농축·재처리
포기
’ 의무조항(미국산 핵물질뿐만 아니라 모든 핵물질의 농축·재처리
포기
)을 의미하며, 테러의 위협에 맞서 핵비확산 기조를 강화하겠다는 미국의 의도를 담고 있다. 이번 한미원자력협정에서는 미국이 ... ...
나의 몸과 움직임이 비밀번호가 되는 세상!
KISTI
l
2015.06.02
들고 계산대로 간다. 그런데 가방 속에도 주머니를 뒤져봐도 지갑이 없다. 이럴 때는
포기
하고 물건을 다시 갖다놓을 수도 있지만 주인에게 “이따가 다시 와서 값을 치르겠다”고 이야기를 하는 이른바 ‘외상’을 긋는 방법도 있다. 외상은 ‘따로 장부에 올려놓는다’는 뜻으로 주인과 손님이 ... ...
후쿠시마 이후 원전 안전대책, 어떻게 바뀌었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4
에너지원 전환을 준비중이던 지미 카터 행정부는 70여건에 달하는 원전 건설 계획을 모두
포기
했으며 오바마 행정부가 원전 건설을 재개할 때까지 30여 년간 미국 정부와 정치권에서는 원자력발전 이야기도 꺼내지 못할 정도였다. TMI 사고는 미국 내 원전 계획에는 큰 악영향을 주었지만 ... ...
황사, 원자력발전으로 막는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게다가 이번 황사는 만만치 않다. 시야도 확 짧아지고 목도 매캐한데다 환기도
포기
해야 하니 불편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 무엇보다도 무서운 것은 미세먼지. 요 며칠간 전국 곳곳의 미세먼지 수치는 최고조에 달했다. 점점 예측하기 어려우면서도 강력하게 변해가는 황사,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