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의심
물음
의혹
문제
질의
앙케트
스페셜
"
의문
"(으)로 총 40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토마세티 박사는 신체조직에 따라 암 발생률이 왜 그렇게 큰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한
의문
에 답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 즉 오늘날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환경 요인과 유전 요인이 정말 그렇다면 이렇게 편차가 클 리가 없다는 것. 예를 들어 음식물에 포함된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피크를 비교하면 D/H비율을 구할 수 있다. 문득 ‘지구의 물이 외부에서 온 건가?’하는
의문
이 들었다. 백두산 천지 정도의 양도 아니고 바닷물 전체가 혜성 같은 외부 천체에서 왔다는 게 언뜻 이해가 가지 않았다. 46억 년 전 태양계가 형성될 때 만들어진 초기 지구는 온도가 뜨거웠을 테니 ... ...
[Tech & Design] 놀라운 인공물질들
KOITA
l
2015.02.09
필요한 에너지도 강철에 비할 바 없이 적었다. ‘그럼 녹는 것은 어떻게 하나요?’라는
의문
에 대한 해결책이 바로 파이크리트다. 파이크리트로 항공모함을 만든다는 안은 정부의 승인을 얻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여기에 붙은 이름이 바로 ‘하버쿡.’ 구약성서에 ‘하박국’이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라고 부른다. 필자가 보기에도 꽤 그럴듯한 설명 같다. 그런데 2010년 이런 해석에
의문
을 제기하는 연구결과가 학술지 ‘생태학’에 실렸다. 미국 와이오밍주 어류 및 야생동물연구단위의 매튜 카우프먼 박사팀은 리플 교수팀의 조사 지역을 다시 조사한 결과 포플러 개체 사이에 차이가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클수록 좋은 수신자이다. ‘번거롭게 수신자조작특성곡선 같은 걸 왜 만들지?’ 이런
의문
이 들 텐데 결국은 곡선의 패턴을 보고 신호냐 잡음이냐를 판단할 기준(역치)을 구하기 위해서다. 즉 적중확률이 1, 오경부확률이 0인 상황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때 통계적으로 가장 좋은 판단을 내릴 수 ... ...
몸에 좋다는 식품, 몸에 안 좋을 수 있다?!
KISTI
l
2015.01.05
칼로리가 꽤 높아 무겁게 먹고 있는 것이다. 또 우유로 만든 식품들의 실제 효과에 대한
의문
도 있다. 우유에 엄청난 양의 칼슘이 들어 있기는 하지만, 이를 우리 몸이 이용하거나 흡수하기는 쉽지 않다는 것이다. 유제품에 들어 있는 과량의 인은 소화 과정 중에 칼슘의 흡수를 방해한다. 유제품 대신 ... ...
오스트리아와 스웨덴에서 ‘체감’과 ‘지속성’ 배운다
2014.12.19
거의 국경이 맞닿아 있는 지역이다. 귀싱 의 혁신은 중앙집중적인 에너지 공급형태에
의문
을 제기하면서 시작됐다. 즉, 특정 지역에서 대규모 에너지 생산설비(발전시설 혹은 열공급시설)를 통해 대량으로 에너지를 생산한 후, 전 력망이나 배관을 통해 전국 각지에 공급하는 기존의 체계로서는 지역 ... ...
[생활 속의 기술] 아이스크림에 대한 세 가지 궁금증
KOITA
l
2014.12.15
위에 얹어 준다. 위의 방송은 대체 벌집이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알고 먹느냐는
의문
을 제기했다. 방송이 나간 뒤 인터넷 커뮤니티는 벌집의 정체를 두고 시끄러웠다. 정답은 ‘진짜’ 벌집인지, 아닌지에 달려있었다.벌집은 꿀벌의 배에서 나오는 밀납이라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다 자란 일벌은 배 ... ...
스티븐 호킹, 그리고 ‘만물의 이론(The Theory of Everything)’
과학동아
l
2014.12.12
IBS) 중이온가속기사업단 연구위원은 “특이점 이론은 빅뱅이론을 둘러싼 최대
의문
을 해결하는 열쇠가 됐다”며 “우주의 시작을 설명하는 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와일드와의 갈등에서 연구의 동기와 아이디어를 얻기도 했다. 영화에서는 무신론자인 호킹 박사가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쓴 책으로 오늘날 심리학과 신경과학 분야에 만연돼 있는 거울뉴런 만능론에 대해
의문
을 제기하고 있다. 즉 오늘날 팔방미인인 거울뉴런의 기초연구가 너무 부실하다는 것. 원숭이는 개별 뇌세포에 전극을 꽂아 거울뉴런을 확인했지만 사람은 아직까지 fMRI 같은 두루뭉술한 해상력을 지니는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