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스페셜
"
우리나라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100조원대 단백질 의약품 시장은 우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해외 특허로 등록돼 있어 신약 개발에 활용하려면 로열티 부담도 컸다. 김학성 교수는 “
우리나라
의약 산업이 특허가 만료된 항체 의약품을 복제하는 바이오 시밀러에 집중하고 있지만 단백질 신약 분야에선 한참 뒤처져 있다”며 “순수 국산 기술로 만든 인공항체는 기존 항체를 대체해 단백질 ... ...
“IT역량 활용해 바이오헬스산업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1.09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IT융합병원과 바이오시밀러 수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미
우리나라
에는 합성의약품 분야에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의약품에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의료기기 쪽에는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의 전문기관이 연구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각 기관의 상호 융합이 더 ... ...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1.12.26
받은 쌀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가 12%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며 “인증이 시작되면
우리나라
에서도 이런 분위기가 형성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준원 녹색성장정책관의 ‘이것만은 꼭!’ △ 사회를 위해 봉사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자. △ 농업인이라면 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농사를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12.05
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모습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이 비관적이지만은 않다는 의견도 나왔다. 신희섭 소장은 “최근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가 한 칼럼에서 FTA가 통과되면 국내 제약회사들이 모두 망할 것처럼 표현했는데, 이는 국내의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건강한 삶을 누리게 하는 HT에서 꾸준히 중심 지위를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우리나라
미래의 중요한 성장동력이 될 것입니다.” 선경 교수의 ‘이것만은 꼭!’ △ 바이오 연구, 기술 위주보다 목적 위주로 재편해야 △ 과학자와 의사, 소통 위한 안팎의 노력 필요 △ HT와 함께 BT를 입체적으로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가 선진국에 뒤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른다. 박 국장은 “
우리나라
는 늦은 감이 있지만 빠르게 따라잡고 있으며 블루바이오2016이 그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블루-바이오 2016을 통해 연구 분야별 선진국과 비교해 37~72%에 불과한 해양생명공학 ... ...
바이오 산업이 지구온난화-급등하는 기름값의 해법
동아사이언스
l
2011.09.27
작물은 환경문제나 경제성 등 약점을 갖고 있고 선진국들이 이미 시장을 차지하고 있어
우리나라
로써는 3세대 바이오매스인 해조류에서 추출하는 바이오디젤쪽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야 합니다.” ● 바이오매스 15년 내에 화석연료 사용량 20~30% 대체할 것 현재 연구단은 조류를 유전공학적으로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연구 성과가 쏟아져 나오는 정부출연연구소와 대학에 대해서도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
우리나라
는 막대한 예산을 국가 R&D에 투자하고 있는데 지식재산은 국제경쟁력이 약합니다. 정부출연연구소는 연구비의 일정부분을 떼어서 고품질 특허확보를 위한 선행기술 조사와 특허출원, 활용전략에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학문의 쏠림현상이 발생해 균형을 잃기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나라
도 선진국처럼 생명공학 같은 과학 분야와 행정을 모두 전공하는 과학정책 전문가를 육성하고, 이들이 과학정책을 연구할 수 있는 전문기관이 필요할 때입니다.” 정준기 본부장의 ‘이것만은 꼭!’ △시장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지원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적인 예로 김 단장은 과학계에서 세계적 학회가 열릴 때
우리나라
학자가 초빙돼 특강을 하는 일이 아주 드물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계 학회에서 연사로 나설 만큼 우리의 기초 연구가 튼튼하지 못하다는 증거”라며 “세계적 학자나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기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