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점
순간
스페셜
"
어떤 특정한 때
"(으)로 총 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노랑색형광단백질 유전자가 들어있다. 이 유전자들은 공포를 체험할
때
발현되게 조작돼 있어서 해마에서
어떤
뉴런이 특정 공포기억에 관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형광단백질이 발현된 세포). 조사결과 해마에서 치상회라고 부르는 영역에 있는 세포들이 주로 활성화됐다. 그 뒤 소리 대신 뇌에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으니, 바로 지금까지 알려진 원핵생물을 놓고 봤을
때
원핵생물(또는 원시진핵생물)이 다른 원핵생물(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의 ... 상태다. 참고로 식물의 세포벽은 훗날 따로 진화한 것이다. 따라서
어떤
식으로든지 경직된 세포벽 대신 유연한 세포내부골격을 지닌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따라 오르내리는데 체온이 가장 높은 시점을 측정하자 자연모방조건일
때
가 비교군보다 평균 31분 늦었다. 또 시각교차상핵의 뉴런 발화의 전체적인 ... 활동하는 시간대가 평균 1.5시간이나 달랐던 것. 이런 차이가 생리적으로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 밝혀낸다면 원뿔세포가 일주리듬에 기여하는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들어 실험동물의 절반이 죽을
때
투여량인 LD50(반수치사량)이 바로 이
때
개발된 개념으로
어떤
물질의 독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다. 이렇게 독성학 방법론이 구축된 상태에서 본격적으로 연구에 들어간 물질이 바로 DDT다. 앞서 소개했듯이 1940년대 화려하게 등단한 DDT는 전쟁 뒤에도 큰일을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코코아의 경우 흰 컵보다 오렌지색 컵에 담겼을
때
더 진하다고 느낀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 앞서 언급한 칸딘스키가 바로 공감각 소유자로
어떤
색을 보면
특정한
음이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이런 공감각 소유자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보통 사람들도 서로 다른 감각 정보 사이에 ... ...
화학결합의 처음과 끝을 봤다
IBS
l
2015.03.27
돌을 던지는 비유를 들었다. 물에서 일어나는
어떤
파동을 보고 싶다면, 돌을 던져서 생긴 파가 ...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X선은 물질에 입사시킬
때
각각의 원자로부터 산란되고 이 산란파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특정한
패턴이 나오는데, 이를 X선 회절이라고 한다. X선 회절 패턴을 분석하면 ... ...
살아 숨 쉬는 모든 것이 데이터가 되는 세상
KISTI
l
2015.03.24
결국 중요한 건 사람이다. 빅데이터 분석은 컴퓨터가 할 일이지만,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해 어디에 활용할지 결정하는 일은 사람이 할 일이다 ... 아우르면서 사회적인 면도 고려할 줄 아는 통섭적인 인재가 그 어느
때
보다 필요하다. 1) Predictive Policing 웹사이트 : http://www.predpol ... ...
쌍둥이에 관한 오해와 진실
KISTI
l
2015.03.10
영향을 받는다. 이란성 쌍둥이를 결정하는
특정한
유전자가 있다는 것이다. 이 유전자를 갖고 있는 ... 난자를 자라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호르몬
때
문에 한 달에 두 개 이상의 난자를 내보내는 ... 달라졌다는 얘기다. 여자 쌍둥이인 경우에는
어떤
유전자가 발현하느냐에 따라 외모가 달라질 수도 ... ...
명품화장품은 좋은 원료에서 나온다
KOITA
l
2015.02.23
호재 가운데 중국의 약진과 일본의 부활 사이에서 한국 화장품 업계가
어떤
전략을 취할지는 중요한 과제다. 태극 문양을 단 비행기는 맞바람을 ... 출퇴근 시간에 전시장을 오가면서 태국인을 살펴보니 무더운 날씨
때
문인지 화장을 한 사람은 별로 없었다. 젊은 여성이나 여장남자(태국에서는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그런데 사람은 대장에서 줄기세포분열 횟수가 훨씬 많지만 생쥐에서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소장에서 더 많다고 한다. 문득 예전에 한 한의사가 암은 ‘음(陰)의 질환’이라며 대장은 음의 장기이고 소장은 양의 장기이기
때
문에 소장암이 없다고 설명하던 걸 본 기억이 났다. 그렇다면 생쥐는 소장이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