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스페셜
"
수정
"(으)로 총 41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효과 좋은 알츠하이머 치료 후보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9.04
네이처 제공 서로 색이 다른 뇌 이미지 두 개가 이번 주 ‘네이처’ 표지를 장식했다. 왼쪽 이미지에 나타난 붉은색이 알츠하이머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다. 1년 후 ... 진행했다. 현재 NASA는 추가 관측을 위해 돈의 궤도를 1400㎞로 높이는 공전궤도
수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
동아사이언스
l
2016.08.01
처음에는 잘 이해되지 않았다”라며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원래 과학 연구가 실험과
수정
을 무한 반복하며 조금씩 발전해 간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로 과학자들의 습관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2013년 현택환 서울대 교수팀이 발표한 ‘사이언스’ 논문의 3D 영상을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즉 1만 8000년 전 으로 추정됐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연대를 10만~6만 년 전으로 대폭
수정
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호빗 발굴을 주도했던 울런공대학 고생물학자들의 연구로 여기에도 마이크 모우드 교수의 이름이 보인다. 연구자들은 당시 호빗의 뼈가 발굴된 지층을 면밀히 재조사한 결과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게놈이 정상인 여성의 난자에서 핵을 제거한 뒤 여기에 자신의 핵을 넣은 뒤 인공
수정
을 하는 방법이다. 기사는 이와 비슷한 처리를 해 태어난 새끼가 결함을 지니고 있다는 동물실험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즉 같은 종이지만 유전적으로 거리가 꽤 있는 초파리나 생쥐의 경우 미토콘드리아를 ... ...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게 이기려면…
과학동아
l
2016.02.26
통한 예측만으로는 이기기 힘든 만큼 스스로와의 대국을 통해 전략을 끊임없이
수정
한 것 같다”고 말했다. 5번만 치르는 단기전인 만큼 ‘이세돌 맞춤형’으로 알파고를 특화시킬 수도 있다. 한보형 포스텍(포항공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물체를 구분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인공지능의 경우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미토콘드리아 게놈에 문제가 없는 여성(오른쪽)의 탈핵한 난자에 자신의 핵을 넣은 뒤
수정
을 시켜 자궁에 착상시키는 방법이다. 지난해 영국에서 세계 최초로 임상적용이 합법화돼 곧 적용될 예정이다. - 사이언스 제공 ● 10년 동안 준비한 결과 사실 MRT의 임상 적용은 이미 1년 전 영국에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2016.01.09
핵을 추출해 건강한 미토콘드리아가 있는 다른 여성의 핵을 뺀 난자에 넣어 인공
수정
을 해 미토콘드리아 결함으로 인한 유전병을 막는 방법이다.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아이의 엄마가 둘이라고 볼 수도 있다(핵 게놈을 준 엄마와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준 엄마). 자딘은 아버지처럼 방송활동도 ...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miRNA)에 관련된 대형 연구성과를 올해 3개나 발표해 화제가 되었다. 초기 배아 단계는
수정
란의 마이크로DNA가 합성되기 전인데 연구진은 모체의 난자 속 RNA가 단백질 발현을 대신 담당하는 기전을 밝혀냈다. 마이크로RNA에 탄생하는 과정에서 드로셔 단백질의 역할을 명확하게 밝혀낸 것도 주목을 ... ...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2.17
유전적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물고기를 교배하는 방법입니다. 두 종의 정자와 난자를
수정
시켜서 양쪽의 장점만을 물려받은 개체를 만들어내는 것이지요. 향어 같은 민물 어종에서는 성공적으로 적용된 바 있지만 바다물고기 대상으로는 아직 상업화되지 않았어요. 이번 성과를 통해 대량 양식이 ...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
2015.12.15
타인의 마음을 잘 이해하는 사람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 아이와 어른의 차이가 바로 이
수정
작업에서 나타남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었다. 아이들은 내가 느낀 것이 곧 남이 느낀 것이란 공식을 끝까지 미는 반면 (네 살 이전의 아이들은 나의 느낌과 타인의 느낌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