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스페셜
"
세기
"(으)로 총 855건 검색되었습니다.
현택환 교수 "한국도 노벨상 머지 않아…자율성 보장하고 꾸준히 지원해야"
2020.10.07
약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쓴소리도 잊지 않았다. 그는 “과학 강국 독일과 일본은 20
세기
가 되기 전부터 국가에서 연구비를 지원하고 연구소를 설립해 과학연구에 몰두해 왔다”며 “한국에서는 1990년대 초반부터 제대로 된 기초과학 지원이 시작된 만큼 시작 자체가 비교가 안 되게 늦었다”고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블랙홀 존재 입증한 '특이점 정리' 미래 물리학을 예견하다
2020.10.07
우주에서 이것을 보면 마치 검은 구멍처럼 보일 것이다. 이러한 블랙홀의 개념은 사실 18
세기
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뉴튼 중력에서 별 표면에서의 탈출속도는 이 별의 밀도에 비례한다. 1783년 존 미첼과 1796년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는 별의 밀도가 적당히 높아지면 이 탈출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프랑스 과학자 피에르 시몽 드 라플라스와 영국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존 미첼은 18
세기
후반 천체들이 매우 밀집하면 보이지 않게 된다고 추론했다. 빛의 속도는 이 천체들이 중력을 빠져나올 만큼 빠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로부터 대략 1
세기
뒤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 이론을 발표하자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②위기는 이미 시작되었다
2020.10.06
했다.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대학으로 손꼽히는 옥스퍼드대와 케임브리지대는 18
세기
와 19
세기
초반, 급격한 산업화와 국민국가의 도래라는 인류사적 전환기에 대응하지 못하고, 고전 교양 교육과 성직자 배출이라는 중세적 역할에 집착하며 ‘구시대의 유물’이라는 오명을 듣기도 했다. ... ...
노벨상 가능성 거론 현택환 교수 "자유로운 과학연구환경 필요"
연합뉴스
l
2020.10.05
응용연구를 구분하기보다 '탁월성'을 좇아야 한다고도 역설했다. 현 교수는 "21
세기
에서는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을 구별하기 어렵다"며 "노벨상 수상 취지처럼 인류에 실제로 도움을 주는 연구에 충실했을 때 더욱 탁월한 연구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세상을 뒤집어놓을 수 있는 논문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관찰하고 분류했다. 그 능력이 얼마나 뛰어났던지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류는 18
세기
까지 군림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유래한 개념 중에 ‘존재의 큰 사슬(The Great Chain of Being)’이라는 것이 있다. 하등생물에서 고등생물까지 하나의 큰 사슬처럼 위계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개념이다. 사슬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포기할 수 없는 화학물질, 차라리 친해지자
2020.09.30
칼 포퍼에 따르면, 만병통치약은 실제로 아무 병도 고칠 수 없는 엉터리일 뿐이다. 21
세기
과학기술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가 과거 시골 장터 약장수의 왁자지껄한 노랫가락 수준의 주장에 현혹될 수는 없는 일이다. ‘음식과 약은 뿌리가 같다’는 식약동원(食藥同源)을 외치는 전문가도 경계해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생물학의 새로운 도덕경제
2020.09.23
통해 좀 더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18
세기
와 19
세기
를 관통하는 자연사 컬렉션의 공통점은, 컬렉션의 소유권이 무조건 수집가에게 부여되었다는 것이다. 자연사 전통에서 훌륭한 컬렉션의 구축 여부는, 수집가자 연구공동체에서 지닌 권위와 수집가의 개인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
2020.09.22
탐침을 넣고 두피에서 거리에 따른 투과도를 조사해봤다. 그 결과 멀어질수록 빛의
세기
가 빠르게 줄어들었지만, 전형적인 햇빛의 강도라면 POA가 있는 지점까지 옵신5를 충분히 자극할 수 있는 양의 보랏빛이 도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그렇다면 사람에서는 어떨까. 같은 영장류인 원숭이의 ... ...
[인간 행동의 진화]밤에 야식이 당기면 먹어야 끝난다
2020.09.20
분명 심야 라면 금지법은 프랑스 혁명 이상의 대혼란을 가지고 올 것이 분명하다. 서기 4
세기
경, 로마의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소시지를 금지했는데, 서민이 이렇게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안 된다는 것이 이유였다. 아마 로마제국의 쇠락은 이때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다. 당장 내일 아침 얼굴이 팅팅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