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무시"(으)로 총 4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면접 전 긴장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2017.06.17
- 특히 분노, 슬픔, 불안, 걱정, 부끄러움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 밀려올 때 이들을 무시하지 않고 ‘나는 지금 ___를 느끼는구나’라고 인정할 수 있을 때 우리들은 더 감정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정은 많은 경우 지금 내가 처한 상황이 어떤지에 대한 일차적 피드백 기능을 한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그럼에도 허기와 식욕은 충족되지 못할 때 견디기 어려운 충동이기 때문에 이를 무시한 다이어트는 실패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 몇몇 과학자들은 허기와 식욕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에 주목하고 있고 식습관에 따라 이런 충동의 강도가 꽤 변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즉 충동을 억누르는 의지력에 ...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무례하고 약자에 대해 차별적인 태도(인종차별 등)를 보이며 작은 일에도 자신을 무시한다며 폭력을 휘두르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자존감이 낮기보다 지나치게 높으며, 이 거대한 풍선처럼 부풀려져 있는 자아관을 지키기 위해 늘 애쓰는 등 자존감 유지에 지나치게 많은 노력을 들이는 사람들이라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2017.05.24
- 분자에 대한 항체가 존재한다는 발견이 간헐적으로 보고됐다. 그럼에도 주류 의학계에서 무시됐는데 면역계가 자신이 속한 몸을 공격한다는 발상은 말이 안 된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1940년대 들어 이런 예가 여럿 보고되면서 면역학자들은 서서히 현실을 받아들이게 됐고(그럼에도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사소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2017.05.07
- 엉망진창 아무일 대잔치처럼 느껴지지 않을까? 우린 매일매일 반복되는 일상을 지겹다며 무시하기도 하지만 실은 상황이 달라져도 변하지 않는 그 규칙들이 어떤 상황에서도 아침은 찾아 올 것이며 2호선을 타면 신촌에 갈 수 있고 여전히 드라마는 재미있을 거라고, 몇 가지 일이 잘못될지언정 내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 ’라고 물어보는 것 만으로 살짝 신난 듯이 느껴지는 효과가 있다. 감정의 존재를 무시하지 않고 받아들이되 과대해석 하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해보도록 하자. ※ 참고문헌 Rozin, P., & Royzman, E. B. (2001). Negativity bias, negativity dominance, and contag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5, 296-320. ※ 필자소개 ...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가 뜨거워지면, 땅속탄소 배출량 늘어나동아사이언스 l2017.04.02
- 과학자들이 앞으로 미래 기후 변화를 예측할 때 ‘토양’과 ‘땅속 탄소 배출량’을 무시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힉스 프라이스는 “앞으로 토양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식물의 생태 변화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DOI: 10.1126/science.aal131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2017.01.31
- 보았다. 연구자들은 집단적 나르시시스트들이 제일 싫어하는 것은 자기 집단에 대한 ‘무시’와 ‘무관심’, 자신들이 적대하는 집단의 성공이라고도 언급했다. 합리적인 대화와 설득, 평등에 대한 메시지보다 우리 집단의 위대함에 타집단을 ‘굴복’시켜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2017.01.04
- 갈수록 뒤죽박죽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일주생물학 연구결과는 자신의 생체시계를 무시하는 인류의 이런 행태가 결국은 스스로를 망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무엇을 먹느냐가 아니라 언제 먹느냐가 문제일수도 있다. 똑 같은 양의 고지방 사료를 먹어도 활동시간대(밤. ... ...
- 슬픔을 피하지 않는 사람이 더 행복한 이유2016.12.20
- 아는 것, 즉 내면의 소리를 좀 더 잘 이해하려 애쓰는 것, 그리고 다양한 감정을 무시하지 말고 또 편식하지 않고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골고루 느끼는 것이 우리의 삶을 좀 더 건강하게 만들어 줄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감정을 소홀히 하고 있었다면, 기분이 나쁘거나 좋다고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