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자
나무궤짝
궤
배
문고
뉴스
"
함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배아 발생 초기 단계에는 0.07%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6mA가 개체발생에 어떤 역할을
함
을 시사하고 있다. 사람의 게놈에도 6mA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연 6mA가 여섯 번째 염기로 생명과학 교과서에 등장할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 ...
현존하는 세상에서 가장 큰 동물들을 소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4.16
제공 무척추동물 중 가장 큰 개체는 대왕오징어입니다.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
'의 바다괴물 '크라켄'과 유사한데요. 최대 길이 20m, 몸무게는 무려 500~1000kg에 달합니다. 눈 크기도 사람 머리만큼 커서 지구상에 있는 동물 중 가장 큰 눈을 가진 동물이라고 합니다. 주로 200~400m 수심에서 ... ...
성적 줄세우기 그만… 내신-수능 절대평가로 바꾸자
동아일보
l
2015.02.12
가질 수 있도록 통합적으로 가르치는 것”이라며 “지식 중심의 경쟁교육이 아니라 ‘다
함
께 사는 교육’을 목표로 삼는다는 점에서 한국 교육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⑤ 교육에 이념-정치개입 악순환 끊어야 실타래처럼 꼬여버린 교육 문제를 ... ...
“‘하루 20분’만 걸어도 조기사망 위험 1/3로 준다”
동아일보
l
2015.01.15
빠르게 20분을 걸어 소비할 수 있는 열량은 90~110칼로리. 다만 연구진은 매일 운동을
함
으로써 얼마나 더 생명을 연장할 수 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임상영양학 저널 최근호에 실렸다. 박해식 동아닷컴 기자 pistols@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 ...
[기고/박주헌]에너지개발정책 성과, 장부로만 평가 말자
동아일보
l
2015.01.13
것과 마찬가지다. 물론 이왕이면 에너지개발 성공률을 높여 장부상 수익성도 높여야
함
은 당연하다. 하지만 에너지안보 측면을 무시한 채 장부상 숫자만을 근거로 에너지 개발을 정쟁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하는 것과 같다. 우리나라의 에너지자급률은 4% ... ...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믿고 먹으라 하고, 포도주를 따라서 자신의 피라고 믿고 마시라 권합니다. ‘그렇게
함
으로써 나를 기억하라’고 합니다. 과학동아 제공 포레 족의 식인 풍습은 겉으로 나타나는 끔찍한 모습을 걷어내면 그 안에는 지극히 보편적인 인간의 사랑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식인 풍습이 이렇게 ... ...
간 80% 넘게 손상돼야 이상신호 느껴져… 국소 방사선 요법으로 癌크기 줄여 절제
동아일보
l
2015.01.05
간 동맥을 통해 국소적으로 항암제를 주사한 뒤 연속적으로 간암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함
으로써 암의 크기를 줄인 후 수술하는 방법이다. 연세암병원 간암센터 최진섭 교수팀이 올해 6월 해외 유명 암외과 학술지인 ‘외과임상종양학회보’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연세암병원 간암센터에서 ... ...
[2014 올해의 여과학기술자상] 직격 인터뷰
2014.12.19
꿈을 쉽게 포기하지 않도록 돕는 선배 과학자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함
교수는 “우수한 잠재력을 가진 학생들이 안정된 생활을 좇아 도전조차 하지 않는 풍토가 아쉽다”면서 “잠재력을 가진 예비 여성 과학자를 발굴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
‘2014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함
시현-임혜숙-유향숙
2014.12.15
암, 광우병 등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 응집 현상의 메커니즘을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함
교수는 질병을 유발하는 단백질이 뭉치는 원인과 그 과정을 찾아내고 단백질의 응집 성향을 90% 정확도로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또 응집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학계의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자리는 사람에서 언어에 관여하는 브로카 영역이다. 즉 언어활동도 거울뉴런이 작용
함
을 시사한다. 그 뒤 거울뉴런이론은 발전을 거듭해 ‘마음의 이론(theory of mind)’, 즉 타인의 상태와 의도를 읽는 능력도 거울뉴런 덕분이라는 주장까지 나왔다. 자폐증 같은 병리적인 현상도 거울뉴런으로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