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식
대식
음식물
배부름
약탈
포획
탈취
뉴스
"
포식
"(으)로 총 443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 노벨 생리의학상] ‘오토파지’ 규명한 日 오스미 요시노리 교수
2016.10.03
내에서 불필요해진 구성물질을 분해해 세포의 영양분을 삼는 ‘오토파지(Autophagy·자가
포식
)’ 현상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발견하고 그 기능을 규명한 공로를 인정해 오스미 교수를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오토파지는 세포 내 불필요한 단백질이나 손상된 소기관을 분해하는 현상으로, 이 ... ...
자유자재로 변신하는 오징어, 사실은 색맹?
2016.10.01
몸통 색깔 바꾸기의 놀라운 위장술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들의 이러한 위장술은
포식
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것일 뿐 아니라, 수컷 갑오징어가 암컷 앞에서 다른 수컷을 경계 및 혼란케 할 목적으로도 사용하는 것인데요. 두족류가 이 위장술을 쓸 때 주변의 색을 인지하므로 자신을 ... ...
재규어와 개미핥기 싸우면?
2016.09.22
imgur 제공 재규어는 강력한
포식
자의 이미지를 갖고 있다. 개미핥기는 기껏 개미나 핥아먹는 유약한 이미지다. 두 동물이 싸우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재규어가 압승할 것이라고 많은 이들이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개미핥기도 아주 세다. 미국의 이미지 공유 사이트 IMGUR에 올라온 영상은 개미핥기가 ... ...
절반 잡아먹힌 상어 ‘SNS 화제’
2016.09.19
미국 플로리다 데이토나 해변에서 ‘절반 상어’가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상어는 강력한
포식
자다. 그리고 사진 속 상어는 덩치가 작지도 않을 것 같다. 바닷속의 무엇이 상어를 이렇게 반토막 내고 말았을까. 많은 네티즌들은 한 입에 상어의 반을 꿀꺽 삼킨 괴물 같은 존재를 상상하면, 바닷속에 ... ...
위풍당당 ‘2억년 전의 악어 친척’
2016.09.19
인상적이다. 당시에는 공룡들이 덩치가 작았기 때문에 비바론 하이데니가 가장 큰
포식
자 중 하나가 될 수 있었다. 미국 버지니아 공대의 학부생이 에밀리 레스너가 이끈 연구팀이 지난주 학술지 피어J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해외 언론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트리아아스기 동안 지금의 미국 ... ...
니모를 찾아서? 멸종 위기의 니모 구하기!
2016.09.17
가 그 촉수 사이에 몸을 숨길 수 있기 때문이지요. 위키미디어 제공 또한 말미잘은
포식
자를 피해 도망 온 흰동가리로 인해 앉은(?) 자리에서 먹잇감을 구할 수 있는데요. 바로 말미잘의 촉수에 있는 자포(刺胞)에서 테트라민이라는 독이 발사돼 흰동가리를 쫓아온 먹잇감을 잡을 수 있게 되는 ... ...
사랑을 고백할 때도 유용한 갑오징어의 변신술
2016.08.13
커몬스 제공 하지만 호주 맥쿼리대학교의 연구진은 갑오징어의 이러한 특별한 재능이
포식
자를 피하기 위해서 일뿐만 아니라 구애를 위한 도구로도 쓰이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몸의 한 쪽은 다른 수컷들을 경계하기 위해 암컷의 몸 색깔로 위장하고 암컷을 향한 다른 반대 쪽은 수컷의 그것 ... ...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08.03
360여 종까지 큰 타격을 입은 것은 물론이다. 서식지 파괴 때문에 고통 받는 것은 거대한
포식
동물인 악어도 마찬가지다. 인도의 가비알은 댐 건설로 서식지가 파괴돼, 1940년대까지 약 5000~1만 마리에 이르렀던 개체수가 2006년에는 235마리 이하로 줄어들었다. 현재는 인도 정부가 직접 나서서 가비알의 ... ...
예쁜꼬마선충의 암수 다른 뇌구조
과학동아
l
2016.07.16
신경망과 연결돼 행동 차이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가정했다. 실제로 유충 단계에서 먹이,
포식
자, 짝 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던 신경세포(PHB neurons)가 암컷 성충에서는 특정한 맛을 피할 때, 수컷 성충에서는 짝짓기 신호를 감지할 때 활성화됐다. 호버트 교수는 “암수의 성장 단계에서 뇌 발달 ... ...
두 달동안 한 번도 땅을 밟지 않고 쉬지 않고 나는 새가 있다?
2016.07.09
Andrea Westmoreland(F) 제공 두 번째 이유는 먹이 사냥과 관련이 있는데요. 바닷속의
포식
자를 피해 물 밖으로 뛰어오르는 물고기 등의 사냥을 위해 공중에서 급습하기 위함입니다. 뛰어난 비행 실력으로 공중에 유유히 떠 있다가 사냥감이 포착되는 순간, 급강하하여 먹잇감을 낚아채는 것이지요. 또한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