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낮의 빛
햇빛
일광
뉴스
"
자연의 빛
"(으)로 총 56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진관] BEAAMMMMM !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때 각 층의 반사 거리가 특정값을 갖고 있어 레이저는 가운데가 뻥 뚫려있는 도넛 모양의
빛
을 만든다. 도넛 모양의 강한 레이저 빔을 물질에 쏘면 정 중앙에 많은 전자들이 모여든다. ... 만든 굴곡진 이미지에서 옵아트가 연상된다. 작가의 TIP 파장의 길이란?
빛
의 파장의 길이를 물리학에서는 ... ...
[과학사진관] 대나무가 꺾이지 않은 것은 속이 비었고 마디가 있기 때문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작가의 TIP 편광현미경이란? 매우 얇게 연마한 시료편에 특정하게 진동하는
빛
인 편광을 통과시켜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는 특수 현미경이다. ▶[과학사진관]의 다른 작품 둘러보기 #만남 #이제나를봐요 #사랑의묘약 #폭풍우치는밤 #눈속에흐르는강 #과거로부터온메시지 ... ...
나노 신소재 ‘그래핀’ 활용… 투명 디스플레이에 한발 더
동아사이언스
l
2018.05.28
섞어 전기가 흐르는 성질(전기 전도도)을 높이고, 이를 이용해 적은 전기로도 밝은
빛
을 내는 효율 높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3일자에 발표됐다. 탄소가 벌집 모양의 육각형 그물 구조를 이루는 그래핀은 전기가 흐르기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레이저로 분자를 만들어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6
연구팀은 나트륨과 세슘 원자를 광학 집게로 각각 분리해 고정시킨 뒤,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빛
을 쐈다. 화학반응은
빛
의 파동에 의해 결정됐다. 이번 연구는 양자 컴퓨터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에 응용될 수 ... 연구자들은 중첩상태를 가지는 물질을 설계하고 합성하는 데 많은 시간과 ... ...
[과학사진관] 잠 못 드는 영혼이 영겁의 세월 속에서 떠도는 깊은 지하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18.05.24
그 광학적 성질을 조사한다. 복굴절이란? 방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른 결정체에 입사한
빛
이 방향에 다른 두 개의 굴절광으로 굴절되는 현상. ▶[과학사진관]의 다른 작품 둘러보기 #만남 #이제나를봐요 #사랑의묘약 #폭풍우치는밤 #눈속에흐르는강 #과거로부터온메시지 #약한자의슬픔 ... ...
[과학사진관] 추풍에 물든 단풍 봄꽃 도곤 더 좋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5.23
추풍에 물든 단풍 봄꽃 도곤 더 좋아라. 천공이 나를 위하여 뫼
빛
을 꾸며 내도다. -남파, 김천택- 작품명 | 초전도체가 그린 가을 Autumn made of superconductor 작가 ... 표면의 높이를 측정한다. ④ AFM으로 얻은 높이 정보를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3D 이미지로 바꾸면 붉은
빛
의 단풍이 든 풍경화가 ... ...
살아있는 생물에서 양자효과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8.05.22
묘사했다 녹색원과 노란원으로 표현된 두개의 분자복합체가 외부에서 온
빛
에 의해 양자중첩이 발생해 동시에 흥분됐다.-Groningen University 제공 자센 ... 의미한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양자의 일종으로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진
빛
알갱이(광자)를 이용해 황박테리아(Chlorobium tepidum)의 광합성 ... ...
[세계측정의 날]전기요금, 온도측정 오류 없는 세상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1
이하 e) 이용해 그 값을 알 수 있도록 하자는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미
빛
의 상수로 정의돼 있던 길이 단위나 플랑크 상수를 활용해 재정의하는 질량처럼, 단위를 ... 측정했던 kg처럼 완전히 인공적인 방법으로 측정한 것은 아니다”라며 “하지만
빛
의 속도처럼 K 역시 기본 상수로 ... ...
[세계측정의 날]과학계가 11월 국제도량형 총회를 주목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8.05.20
습도 등 주변 환경에 따라 미묘하게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문제가 돼 현재는
빛
이 진공상태에서 ‘2억9979만2458분의 1초 동안 진행한 거리’로 정의하고 있다. 주변 환경과 관계없이 물리적으로 절대 값을 정의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질량을 재정의하기 위해선 어떤 방법이 존재할까 ... ...
[과학사진관] 부분은 전체를 구성하고, 표상으로 나타나는 전체는 결국 그것을 구성하는 부분을 대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9
것인지도 모른다. 가령, 공초점 현미경*으로 포착한 신경세포가 보여주는
자연의
모습은 생명이 만들어낸 정수를 보여주고 있지 않은가. 작가의TIP 공초점 ... 생쥐 뇌에 존재하는 가장 큰 신경다발인 뇌량(腦梁)을 찍은 것이다. 푸른
빛
은 세포의 DNA가 염색된 것이다. 뇌량으로 전달되는 정보들은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