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자공학"(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공통 조상 2019년 10월 첫 등장"동아사이언스 l2021.10.29
-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발생 초기인 2019년 12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바이러스 유전자 변이 양상과 진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 시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는 안 돼도 GEO는 된다?2021.10.14
- 영국의 로탐스테드연구소는 게놈편집으로 아미노산 아스파라긴을 덜 합성하는 밀을 만들어 현장 재배에 들어갈 예정이다. 유리 아스파라긴은 조리과정에서 발암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로 바뀌므로 이를 덜 만드는 게놈편집 밀은 좀 더 안전한 먹을거리가 될 수 있다. 최근 영국 정부는 게놈편집 작 ... ...
- 기억 흔적 추적하고 반도체 발열 해결 방안, 자율주행차 SW 검증 방법 찾는다동아사이언스 l2021.10.11
-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2021년 하반기 지원 과제에 선정된 교수진(첫째줄 왼쪽부터 포스텍 김태경 교수, UNIST 박경덕 교수, 가천대 김익수 교수, 둘째줄 왼쪽부터 KAIST 김진국 교수, GIST 이종석 교수, 서울대 허충길 교수, 포스텍 공병돈 교수) 감각 자극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신경 세포들을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특허 그리고 악당의 탄생' 2021.10.07
- mRNA 개발에 참여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로버트 멀론. 그는 누구인가. 네이처 제공 ”백신접종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자주 찾는 인터넷 방송에서, 로버트 멀론은 특별한 손님이다. 자연치유사나 안마사를 초청하던 그 방송에서 mRNA(메신저리보핵산) 백신의 발명자라는 타이틀만큼 완벽한 것은 없기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촉각수용체 발견, 만성통증 치료 시대 올까2021.10.05
- 2021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데이비드 줄리어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생리학과 교수(왼쪽), 아뎀 파타푸티언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신경과학과 교수.아뎀 파타푸티언 트위터 캡쳐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우리 몸의 촉각 수용체 분자들을 규명한 2명의 과학자에게 수여됐다. 데이비드 ... ...
- 한국도 도입 검토중인 '머크' 코로나 치료제, 입원·사망 위험 절반 줄여동아사이언스 l2021.10.03
- 다국적제약업체 머크앤드컴퍼니(MSD)와 생명공학기업 리지백 바이오테라퓨틱스가 공동 개발한 몰누피라비르. 연합뉴스 제공 다국적 제약업체 머크앤드컴퍼니(MSD)가 지난 1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임상시험 결과를 공개했다. 코로나19 환자 775명을 ...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세균성폐렴과 코로나19 자동 분류하는 AI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1.10.01
- 분간이 어려운 세균성폐렴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환자를 자동으로 분류해주는 심층학습 모델이 개발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제공 ■ 박성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팀은 안준홍 영남대병원 교수팀과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 내 병이 있는 부위를 ... ...
- 19회 화이자의학상에 성학준 교수·박중원 교수·최동호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1.09.30
- 성학준 연세대 의대 의학공학교실 교수(왼쪽)와 박중원 국립암센터 간담도췌장암센터 교수(가운데), 최동호 한양대 의대 외과 교수가 화이자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국화이자제약 제공 성학준 연세대 의대 의학공학교실 교수와 박중원 국립암센터 간담도췌장암센터 교수, 최동호 한양대 의 ... ...
- 생명연 창업기업 진코어 "한층 작아진 유전자 가위 기술로 게임 체인저될 것"동아사이언스 l2021.09.28
- 28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창업기업인 진코어가 기존 유전자 가위의 한계를 극복한 초소형 크리스퍼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28일 연구원 창업기업인 진코어가 유전자 편집 기술인 초소형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캐스12f1(CRISPR-Cas12f1)'을 개발했다 ... ...
- 1만년 전 사라진 매머드 복원에 부자들은 왜 투자했을까동아사이언스 l2021.09.24
-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멸종한 매머드를 복원하는 프로젝트가 출범했다. 미국 알래스카대 제공 현재는 멸종해 더는 볼 수 없는 초대형 포유동물 매머드는 1만년전만해도 시베리아와 북미 일대를 누비고 다녔다. 고생물학자들은 코끼리과에 속하는 매머드가 인간의 수렵, 기후변화 등의 복합적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