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서
상하
뉴스
"
위아래
"(으)로 총 1,76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무인헬기 '인저뉴이티' 하늘 날았다...첫 동력비행 성공(2보)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탐사 헬리콥터 '인저뉴이티'가 자신의 그림자를 찍어 보낸 사진이다. NASA 유튜브 캡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9일 오후 7시 53분 화성 무인헬리콥터 '인저뉴이티(ingenuity·독창성)'가 첫 비행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화성 하늘에서 성공한 첫 동력 비행이다. 실제 시험 ... ...
[프리미엄리포트]모바일 세상에서 장애인이 차별을 겪는 순간들
과학동아
l
2021.04.17
고려된다. 진동 모드로 바꾸는 똑딱이 버튼이나 홈버튼은 스마트폰을 직접 보지 않고도
위아래
를 구분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미세한 손가락 움직임이 힘든 지체장애인을 돕기 위해 스마트폰에 별도의 장치를 연결하는 ‘스위치 제어’ 기능도 있다. ○ 접근성 기술 뛰어난 스마트폰, 활용이 못 ... ...
비츠로테크, 국제핵융합실험로 190억원 규모 '수직 안정화 코일' 제작사업 수주
동아사이언스
l
2021.04.16
만들기 위해 발생시킨 대용량 플라즈마 전류가 영향을 준다. 소직 안정화 코일은
위아래
로 흔들리는 플라즈마를 고정시켜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입찰은 ITER 국제기구에서 공고를 냈고 비츠로테크 외에도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기업이 참여했다. 기술 평가와 가격 경쟁을 거쳐 ... ...
[강석기의 과학카페]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멈출 수 있을까
2021.04.13
‘이런 연구가 어떻게?’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지난해 마지막 호에서 ‘2020년 10대 과학성과’를 발표했다. 그런데 목록을 보다가 고개를 갸우뚱했다. 1년 동안 나온 수많은 연구결과 가운데 뽑힌 열 개에 포함되기에는 너무 평범해 보이는 게 하나 있어서다. 세계기후연구프로그램(WCRP) ... ...
"화성 탐사 헬리콥터에 한국 스타트업 경험 녹아들어갔죠"
동아사이언스
l
2021.04.09
드론을 만드는 대신 기업의 힘을 빌린 것이다. 무인탐사연구소는 곧바로 하나의 축에
위아래
로 붙은 회전날개(로터) 두 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도는 방식인 동축 반전 무선 헬기의 부품과 3차원(3D) 프린터로 제작한 본체를 이용해 시험에 사용할 드론을 제작했다. 무인탐사연구소가 ... ...
수리모델링 전문가들, 한달 전부터 600명대 확진 경고했다…‘4차 유행’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이달 2일 공개된 ‘수리모델링으로 분석한 코로나19 유행예측’ 보고서에서 이효정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부산의료수학센터장이 예측한 확진자 추이. 위에는 일일 신규 확진자 추이를, 아래는 누적 확진자 추이를 나타낸다. 두 그래프 모두 전체적으로 확진자가 증가하는 모양새다. 보고서 캡처 7일 ... ...
대기 희박한 화성 하늘 나는 첫 우주 헬기 '인지뉴이티' 비행 어떻게 준비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퍼시비어런스와 인지뉴이티 모형을 이용해 지구상에서 인지뉴이티 배출 시험을 시도하는 모습이다. NASA JPL 제공 이달 11일(미국 동부시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탐사로버 퍼시비어런스의 소형 헬리콥터 ‘인지뉴이티’가 역사적인 첫비행에 나선다. 화성 하늘에서 시도되는 첫 동력 비행이 ... ...
댐 수문 열리듯 태백산맥서 쏟아진 태풍급 바람, 봄철 강원 영동 산불 키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2
양간지풍 발생원리. 동아일보DB ‘마치 불씨가 도깨비처럼 날아다녔다’. 조선시대 왕의 행적을 적은 조선왕조실록은 성종 20년(1489) 2월 24월 강원도 양양에서 일어난 불을 이렇게 적고 있다. 불씨는 주변 가옥 205채와 '천년고찰' 낙산사 관음전을 태운 다음 간성(현 고성)까지 번져 향교와 가옥 124 ... ...
3D 프린팅으로 나노미터 구조물 수천개 동시에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1
연구진은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구멍이 정렬된 비전도성 마스크와 실리콘 기판이
위아래
로 분리된 상태로 놓여 있는 증착 챔버 안으로 나노입자와 하전을 주입했다. 이온이 먼저 마스크 위에 축적되면서 마이크로미터 크기 구멍마다 정전기 렌즈가 형성된다. 이 정전기 렌즈를 통해 뒤이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시적 망각은 어떻게 생길까
2021.03.30
픽사베이 제공 무산소 호흡 공생체 발견 논문을 읽다가 있었던 일이다. 미토콘드리아의 기원이 세포내공생이라는 언급에 딸린 참고문헌을 보니 1967년 ‘이론생물학저널’에 실린 그 논문이다. 그런데 저자가 ‘Sagan, L.’이다. ‘그래, 칼 세이건이 첫 남편이었지...’ 우리가 알고 있는 저자의 성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