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뉴스
"
새
"(으)로 총 4,177건 검색되었습니다.
[바꿔쓰자!과학용어] ⑦면역억제제->면역조절제...처세대한림원이 꼽은 용어
동아사이언스
l
2023.11.03
염증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가령 장기 이식 환자는 면역세포가
새
장기를 공격하는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 약물요법을 받는다. Y-KAST 소속 의약학부는 억제를 하다는 표현이 면역기능을 완전히 무력화한다는 오해를 부를 수 있다는 점에서 ‘면역조절제’로 사용하는 것이 ... ...
난임·불임
새
원인 찾아…"체외수정 전 유전자 검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3.11.0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난임·불임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난모세포 속 단백질의 역할이 처음으로 규명됐다. 멜리나 슈 독일 괴팅겐 막스플랑스 다학제과학연구소 연구팀은 난모세포 속 '세포질 격자'로 알려져 있는 일종의 단백질 저장소에서 불임을 유발하는 원인을 찾을 수 있다는 연구 ... ...
"티코 타고 유라시아 질주 꿈꿨다…그런데 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02
정답이 있는 건 정보를 얻기만 하면 되지만, 아무도 해본 적이 없는 건 시행착오를 통해
새
정보를 만드는 것임을 담으려고 한 첫 행사"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실패한 것'이 아니라 '실패를 안 해 본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생존율 낮은 ‘소세포폐암’ 이중항체 치료 가능성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3.10.31
진행 속도가 빠르고 생존율이 낮은 ‘소세포폐암’의 치료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되는
새
치료 전략이 제시됐다. 삼성서울병원은 안명주 혈액종양내과 교수가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 오브 메디신’에 소세포폐암 신약인 ‘탈라타맙’의 2차 치료제로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 ...
[과기원NOW] KAIST, AI의 편향성 줄이는 공정한 AI 훈련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31
제안, 데이터의 편향 패턴이 변화하더라도 모델을 공정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새
학습 프레임 워크를 개발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미국 UCLA 스마스헬스센터와 공동 주최한 '디지털 헬스 케어 챌린지'에서 메디컬에이아이가 최종 우승팀으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UNIST는 30일 UNIST ... ...
합성생물학, 2030년까지 선도국 90% 수준으로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30
문제로 지적되던 낮은 속도와 불확실성의 한계를 극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새
정부 국정과제로 합성생물학을 포함한 ‘디지털바이오 육성’을 추진 중이다. 12대 전략기술의 세부 중점기술로 합성생물학을 선정하는 등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전략은 합성생물학 ... ...
지긋지긋한 류머티스성 관절염 없앨
새
치료 후보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27
동시에 해결하고 비정상적 면역 체계를 회복시켜 스스로 질병을 치료할 수 있게 돕는
새
로운 치료 후보 물질을 제시했다. 활성산소 제거 기능이 있는 세리아(산화세륨·CeO2) 나노입자와 줄기세포 유래 베지클을 결합한 세리아-줄기세포 나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발했다. 연구팀이 활용한 ... ...
전기차 폭발 위험 확 줄인
새
전해질 첨가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26
국제 학술지 'ACS 머티리얼즈 레터스' 10월 호 부표지논문으로 소개된 이번 연구. 원자력연 제공 배터리 폭발 위험, 충전 시간 대비 짧은 주행거리 등 전기차가 가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연구원 창업기업인 내일테크놀로지가 질화붕소나노튜브(BNNT)를 활용 ... ...
저용량·고효율 RNA 백신 개발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3
여러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연구팀은 안정성이 높은 circRNA를 대상으로,
새
로운 형태의 단백질 번역 과정을 규명하는데 나섰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세포 내에서 생성되는 대부분의 circRNA는 엑손 접합 복합체(EJC)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엑손 접합 복합체는 단백질 합성을 담당하는 ... ...
중성자 시설 '하나로' 이용, 2차전지 수명 연장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3
양극재는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다. 효능이 높고 가격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새
양극 소재 개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그중에서도 하이 니켈은 리튬이온전지의 차세대 양극재로 주목받고 있다. 저렴하지만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어 저장 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다. 다만 하이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