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합성
조립
혼합
콤플렉스
구성
뉴스
"
복합
"(으)로 총 1,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승진 △전북분원
복합
소재기술연구소 분원장 최원국 ▽전보 △경영지원본부장 변덕용 ...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04.13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한 것인데 왜 우리는 피로감과 집중력 감소를 느낄까. 여기엔 여러
복합
적 이유가 작용한다. 먼저 섭취한 음식을 소화하는 데 많은 에너지가 들기 때문에 혈액이 소화기관으로 쏠리고 뇌로 향하는 혈액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뇌로 향하는 혈액이 줄면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 ...
난청 치료 길 열어…베일 싸인 '귓속 단백질'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한다. 연구팀은 초저온전자현미경(Cryo-EM) 분석법을 사용해 GPR156과 GPR156-G단백질 결합
복합
체를 고해상도로 관찰했다. 이를 통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작용제 없이도 GPR156이 높은 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원인을 찾았다. GPR156은 세포막에 풍부한 인지질과 결합해 활성화됐다. 세포질에 있는 ... ...
"고령화 진행되는 지역, 기후변화에 취약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4.09
기후 적응 정책 변화를 추적하고 분석했다. 사회경제적 변화를 포함한 다차원적이고 융
복합
적인 기후변화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고령화와 그린 인프라의 수요·공급 동태를 기후변화 적응 노력 강화의 관점에서 평가했다”고 ... ...
암세포만 골라 '유전자 가위'로 교정 치료하는 항암신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동물모델에서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나노
복합
체가 암세포 내에서 세포주기를 관장하는 유전자를 교정해 암세포 분열을 억제하는 항암 효과가 잘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최초로 크리스퍼 단백질과 항체를 결합해 효과적으로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 ...
가볍고 유연한 '탄소나노튜브 섬유', 에너지 저장 33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가능한 기술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정현수 전북분원 기능성
복합
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김남동 책임연구원, 김승민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섬유형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애플 비전프로와 같은 최신 웨어러블 ... ...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전극으로 99% 재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연구가 처음이다. 지금까지 재활용된 CFRP 섬유는 불균일한 성질 때문에 활용처가 주로
복합
소재의 충진제에 국한됐다. 반면 연구팀이 만든 업사이클링 탄소섬유는 E-모빌리티 배터리의 전극재로 적용했을 때 코인셀 평가에서 흑연 대비 동등 혹은 그 이상의 성능을 나타냈다. 정 단장은 “전 ... ...
염색체 말단 '텔로미어' 메커니즘 규명…"항암 치료 전략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비정상적으로 안정화된 텔로미어 G4 구조는 전사-복제 충돌을 일으켜 DNA와 RNA(리보핵산)
복합
체인 '알-루프(R-loop)' 구조를 유발하는 것을 밝혔다. 특히 텔로미어는 짧은 세포에서 이러한 R-loop 구조가 많이 축적됨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텔로미어 핵산 구조가 암 발생의 중요 인자임을 밝혔다. R-loop ... ...
과기정통부-조달청, 우주발사체 등 혁신제품 공공판로 지원 맞손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말했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이번 과기정통부와의 협력을 계기로 첨단융
복합
기술 분야의 많은 혁신기업들이 R&D, 투자, 시범구매 등 다방면의 지원을 통해 공공조달시장을 발판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부처 간 벽을 허물고 협업을 강화해 기업들이 성장하기 ... ...
화재 걱정 없는 전고체 배터리 '열 안정성' 더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복합
체를 만들어 열 안정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다. 그 결과 LIC와 양극이 혼합된
복합
체는 분해가 시작되는 온도를 높여 낮은 온도에서 쉽게 분해되고 터질 수 있는 위험을 줄였다. 폭발하는 주요 원인인 산소 방출도 크게 억제했다. 양극에서 발생한 산소가 가스로 변하지 않고 LIC와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