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책임
가중
부담
맡은이
값
처리
유지
뉴스
"
담당
"(으)로 총 3,071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현실서 이동해도 뇌 속 GPS세포 활성화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위치를 좌표 형태로 인식한다. 공간 내 사건들을 기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한다. 두개골을 열고 침습적 전극으로 개별 세포의 활성을 측정해야 해 지금껏 격자 세포와 장소 세포 등 GPS 세포가 활발히 연구되지 않았다. 동물실험으로 연구하기도 어려웠다. 인간만이 상상이나 환각을 통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에 대한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MDPI 학술지에 대한 부실 의혹에 대해서 "의사 결정
담당
자들이 검증된 기준을 통해 의사 결정을 내렸으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MDPI는 자사 학술지의 전반적인 부실 의혹을 인정하는 대신 자신들이 학술 논문의 출판 속도를 높이고 오픈액세스(OA) 방식을 통해 지식 ... ...
난청 치료 길 열어…베일 싸인 '귓속 단백질'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귀 안쪽에는 소리를 감지하는 달팽이관과 평형감각을
담당
하는 전정기관이 있다. 이 기관들의 세포들은 수용체 단백질인 ‘GPR156’을 갖고 있다. GPR156이 활성화되면 세포 내 G단백질과 결합해 신호를 전달한다. G단백질은 ‘구아닌 뉴클레오타이드-결합 단백질’로 ... ...
동력 20% 절감 기술로 축류펌프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4.09
때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탄소배출은 줄이는 저탄소 산업구조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3월 국제학술지 ‘에너지’ 등 다수의 저널에 게재됐다 ... ...
표준연, 6G 안테나 측정 장비 국산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거울삼아 한국은 6G 인프라 구축을 우선해야 하는 상황인데 측정 장비 개발은 그 한 축을
담당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9년 4월 한국은 세계 최초로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야심차게 시작했지만 품질과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국내 통신 3사가 5G 주파수를 반납한 바 있다 ... ...
의대 2000명 교육 1조8000억 드는데…정원 '강제 할당'에 난감한 대학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하는 상황이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관계자는 “교수는 물론 조교, 각 시설의
담당
직원, 학사행정 직원 수도 늘어나야 한다”며 “각종 기자재 등도 현재의 4배수로 늘려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충분한 재정적 지원을 한다고 가정해도 당장 학생을 수용하고 가르칠 수 있는 ... ...
스마트폰 앱으로 '젊은 치매' 징후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세우기 등 실행 기능을 살펴볼 수 있는 테스트를 담고 있다. FTD가 있으면 실행 기능을
담당
하는 뇌 부위가 축소되기 때문이다. 연구에는 평균 연령 54세인 360명의 참가자가 참여했다. 이들 중 60%는 FTD 증상은 없지만 FTD 관련 유전자를 가졌다. 20%는 FTD 증상이 있었다. 연구 결과 유전적으로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급 전보 △홍보
담당
관 안영훈 △정보통신산업기반과장 백대현 △디지털포용정책팀장 이강용 △다자협력
담당
관 허은영 ...
뇌에 '바코드' 새겨 일시 기억 저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세포는 특정 위치에 반응해 활성화되는 해마에 위치한 세포로 공간을 지각하는 능력을
담당
한다. 박새가 음식 저장고 근처로 갈 때 장소 세포의 반응은 특별히 커지거나 작아지지 않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음식 저장고와 관련한 박새의 일화 기억은 장소 세포보다는 바코드 형태의 뇌 활동 ... ...
피겨스케이팅 선수 '쿼드러플 점프' 가능한 과학적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3.31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은 미끄러지는 느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우리 몸 균형을
담당
하는 소뇌의 연결 부위를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의 뇌 스캔은 소뇌에 대한 더 많은 힌트를 제공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는 일반인에 비해 소뇌의 오른쪽이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