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뉴스
"
공전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9가지 기술
2015.09.11
● 상추 키우고 소변 재활용 가장 중요한 건 음식이다. 화성은 타원 궤도로
공전
하고 있어 지구와 화성 사이의 거리는 계속 바뀐다. 최단 거리가 약 5460만 km다. 화성에 물품을 보급하는 우주선이 도착하려면 최소 9개월이 걸린다. 실제로 2012년 화성에 도착한 탐사 로봇 ‘큐리오시티’는 5억660 ... ...
100광년 거리에서 ‘목성 동생’ 찾았다
2015.08.16
추정된다. 이 행성이 돌고 있는 항성의 나이가 2000만 년 살 정도이기 때문이다. 행성은
공전
궤도 중심에 있는 항성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함께 만들어진다. 우리 태양은 지금으로부터 약 45억 년 전에 생성됐다. 연구팀은 “목성의 유년기 시절의 특성을 이 행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목성 ... ...
오늘 밤(13일 새벽) 하늘에서 ‘별비’ 쏟아진다
2015.08.12
볼 수 있으며 같은 조건이면 밤보다는 새벽에 많은 유성을 관측할 수 있다. 지구가
공전
하는 동시에 자전하면서 유성우가 나타나는데 이때 혜성의 잔해와 부딪히는 방향이 지구가 자전을 하면서 새벽을 맞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다만 불빛이 많은 대도시에서는 떨어지는 유성을 쉽게 관측하기 ... ...
이번엔 진짜! 지구와 가장 닮은 ‘제2의 지구’ 발견
2015.07.25
45억 년인 우리 태양보다 15억 년 더 오래됐다. 케플러-452b의 지름은 지구의 1.6배다.
공전
주기는 385일로 지구(365일)와 유사하다. 케플러-452b(빨간색 원)가 지구(노란색 원)과 가장 유사한 조건을 가졌음을 보여주는 그래프. 세로축은 항성 지표면의 온도를, 가로축은 행성이 항성으로 부터 받는 ... ...
[명왕성 첫 탐사] 인류, 9년 6개월 만에 드디어 명왕성과 만났다
2015.07.15
이름도 ‘134340’이라는 번호로 바뀌었다. 왜소행성은 행성처럼 태양(항성) 주위를
공전
하지만 달처럼 행성 주위를 돌지 않는 천체를 말한다. ● 명왕성에 가장 가까이 접근 NASA는 뉴호라이즌이 최근 보내온 정보를 분석한 결과 명왕성의 지름이 알려진 것보다 80㎞가량 더 긴 2370㎞ 안팎이라고 ... ...
명왕성 주위를 도는 위성의 원동력은?
2015.06.07
명왕성과 카론 주위를
공전
하게 된 것으로 밝혀졌다. 표지의 기어는 이들 위성이
공전
하는 원동력을 암시하는 셈이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는 남아메리카 아마존 밀림에 사는 어느 원주민의 사진이 실렸다. 이들의 갈색 피부는 아마존 밀림의 초록빛과 대조를 이뤄 더욱 ... ...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
2015.06.02
자료가 부족하므로 앞으로 지켜보겠다는 의미가 강하다. 국내에서도 예방 차원에서 식품
공전
으로 검출 한계를 정해 놓고 있다. 현재 산을 이용해 분해한 간장이나 이를 일부 포함한 '혼합간장'의 경우, 3-MCPD가 0.3mg/kg 이하, 기타 HVP의 경우 1.0mg/kg 이하로만 검출돼야 한다. 이 기준은 유럽이나 호주, ... ...
수성 탐사선 ‘메신저’여 편히 잠드소서!
2015.05.04
매우 느리고(약 59일) 완충역할을 할 대기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수성의 자전축은
공전
면과 거의 수직이기 때문에 극지방의 온도는 꽤 낮아 영하 90도를 넘지 않는다. 아무튼 원래 계획된 궤도 비행 미션은 2011년 4월 4일 시작됐고 이때 수집한 데이터를 해석한 논문 7편이 ‘사이언스’ 9월 30일자에 ... ...
화성 생활, 새로운 달력으로 시작한다
수학동아
l
2015.04.30
6개월에 날짜 수는 167일이 된다. 이를 4번 반복하면 24개월로 이뤄지는 1년이 된다.
공전
주기와 생기는 약간의 차이는 2년에 한 번씩 윤년을 넣어서 맞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화성의 달력을 만들 수 있다. 달력을 만드는 데는 꼭 정해진 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니 누구나 자신이 가장 합리적으라고 ... ...
4월 4일, 달이 사라진다?!
과학동아천문대
l
2015.03.26
보름달이다. 하지만 보름달이 뜰 때마다 월식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달과 지구의
공전
궤도면이 5도 기울어져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에 놓여야 하는데 이런 현상은 흔하지 않기 때문이다. 올해에는 4월과 9월, 두 번의 개기월식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4월에만 관측할 수 있다. 다음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