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업"(으)로 총 5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 과학기술 토대 닦은 1세대 과학자들, 첫 ‘과학기술유공자’로동아사이언스 l2018.01.08
- 故 김수지 이화여대 명예교수도 이름을 올렸다. 조선해양기술을 선도한 민계식 전 현대중공업 회장, 한국을 반도체 기술 강국으로 이끈 윤종용 전 삼성전자 부회장(DGIST 이사장) 등 기업인도 2명 포함됐다. 과학기술유공자는 세종대왕, 장영실 등이 올라 있는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 ...
- “인간과 어깨 맞대고 일한다”… 산업현장서 ‘협동로봇’ 주목동아사이언스 l2017.12.27
- 이 분야는 기계공학의 극치로 꼽힌다. 손가락이 다섯 개면 관절은 15∼20개가 들어가니 공업용 로봇 4∼5대를 좁은 책상 위에 올려놓고 한꺼번에 일을 시키는 셈이기 때문이다. 촉각을 대신하기 위한 각종 센서도 유기적으로 연결해야 한다. 독일항공우주연구소(DLR) 로봇메카트로닉스연구소가 만든 ... ...
-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32명 발표동아사이언스 l2017.12.07
- 1942) 故김순경 템플대 명예교수(1920) 故김재근 서울대 명예교수(1920) 민계식 전 현대중공업 회장(1942) 박노희 LA 캘리포니아대 교수(1944) 故석주명 국립과학박물관 동물학부장(1908) 故안동혁 한양대 명예교수(1906) 故염영하 서울대 명예교수(1919) 故우장춘 농업과학연구소 초대소장(1898) 윤덕용 KAIST ... ...
- 한국 신기술 수준은? 2017년 산업기술성과 14선 발표 동아사이언스 l2017.11.29
- 공정 기술 (효성기술원) ◆ 저풍속 지역에 적합한 중대형 고효율 풍력발전시스템 (두산중공업) ◆ 강도를 종전 제품대비 30% 향상시킨 자동차 강판을 설계해낸 머신러닝 기반 합금 및 공정 설계 플랫폼 (현대제철 ... ...
- [때와 곳 16] 야영지: 일상에서 가장 먼 곳2017.08.05
- 환경을 이용했으니 말이다. 다만 오늘날의 야영은 야영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업 생산물로 만든 캠핑 전용 장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는 크다. 오늘의 야영은 생존이 아닌 여가활동이라는 점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천성이 게으른 나는 야영을 즐기지도 않거니와 야영의 기술적인 ... ...
- 국가 안보, 민간 활용...실용적 목표 주력하는 日 우주 정책동아사이언스 l2017.07.21
- 처리 등을 목적으로 소형 위성을 쏘아 올리기 위해서다. 일본의 민간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 주도로 개발 중인 차세대 로켓 ‘H3’의 첫 발사는 2020년으로 예정돼 있다. 올해 초 일본은 길이 9.54m, 직경 0.52m의 세계에서 가장 작은 3단 로켓 ‘SS-520’을 발사하기도 했다. 최종적으로 발사에는 ... ...
- 늦은 봄철 초미세먼지 54%는 국내, 34%는 중국 영향동아사이언스 l2017.07.20
- 농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포름알데히드는 VOCs 중에서도 주로 톨루엔, 벤젠처럼 화학공업에서 유기용매로 쓰이는 방향족 유기물질이 광분해 될 때 발생한다. 장 센터장은 “측정되는 포름알데히드의 양이 많으면, 그만큼 방향족 유기물질이 초미세먼지에 많이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고 ... ...
- '지구를 위한 과학' 메이커 프로젝트 오리엔테이션 열려어린이과학동아 l2017.07.08
- 제공 2016년 도시형 에너지 생활기술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서관운 학생의 발표도 이어졌다. 서관운 학생은 평소 쓰레기를 버리러 갔다가 손이 지저분해지는 게 불편했던 경험을 발전시켜 빗물 저금통을 만들었다. 빗물을 모아 통에 담아놨다가 쓰레기를 버린 뒤 손을 ... ...
- 예술 작품 수준, 종이로 만든 화려한 새팝뉴스 l2017.07.04
- 할 수 있다. 디아나는 2010년 콜롬비아의 보코타에 있는 호르헤 타데오 로사노 대학에서 공업디자인을 전공하고 학위를 받은 후 유럽과 아시아, 아메리카 등지를 돌아다니며 디자인 작업을 해왔다.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는 패턴들과 마찬가지로, 제 조각에서도 역시 다양한 요소들이 합쳐져서 ... ...
- '핵비확산, 핵안보' 신뢰를 위해 소통하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동아사이언스 l2017.07.01
-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이해를 구하기 위한 취지로 열렸다. 한국수력원자력, 두산중공업, 한전KPS, 한국전력기술,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주요 기관과 기업이 참가해 원자력 발전 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등을 전시했다.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이하 KINAC)도 이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