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뉴스
"
결론
"(으)로 총 1,969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리협정 충실히 지켜도 2100년까지 빙하 절반 녹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1.5도 이내로 제한하자는 파리협정 시나리오에서도 2100년까지 빙하의 49%가 사라진다는
결론
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월 5일(현지시간)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년간 위성으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그린란드와 남극 대륙을 제외한 전 세계 21만5000개의 빙하를 분석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 ...
결핵 mRNA백신·유전자가위 치료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있다. 하지만 약물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는 일부 과학자들의 주장이 있어 FDA가 어떤
결론
을 내릴지 주목받고 있다.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도 계속된다. 지난 한해 동안 많은 성과를 낸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에 이어 각국의 후속주자가 나선다. 올해 발사될 유럽우주국(ESA)의 '유클리드 ... ...
미역·갯벌의 재발견...의외의 탄소 흡수원 부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세계 첫 연구결과”라 소개하며 갯벌에 탄소중립의 해법이 잠재해 있을 수 있다는
결론
을 내렸다.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갯벌엔 이미 약 1300만t의 탄소가 저장돼 있다. 김 교수는 “갯벌에 주목해야 한다”며 “새로운 탄소 흡수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바닷속 플랑크톤이 기후변화 피해를 ... ...
[주말N수학]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 2
수학동아
l
2022.12.24
보이기 위해서는 선택 공리가 반드시 필요한데요. 선택 공리가 비구성적이기 때문에
결론
또한 비구성적이 돼버렸습니다. 실수 집합이 정렬 순서라는 것을 알았는데, 어떤 방식으로 순서를 매겨야 하는지는 모르는 판국이 된 것입니다. 비구성적 논증이 어떻게 생겼는지 한 가지 퍼즐로 설명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도 유발하는 '바이러스' 유래는 '독성물질'
2022.12.20
아무 변화도 생기지 않았다. 라우스는 여과지를 통과한 바이러스가 암의 원인이라
결론
내리고, 자신이 발견한 바이러스를 라우스 육종 바이러스(Rous sarcoma virus)라 명명했다. 그는 세포가 없는 여과액이 암을 일으킨다는 내용을 1910년 11월에 열린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이듬해에 논문으로 발표했다. ... ...
여성 암 환자, 오후에 항암치료하면 효과 더 좋아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분석이다. 고 교수는 “혼재변수를 완벽히 통재한 대규모 후속연구로 이번 연구의
결론
을 재차 검증하고, 다른 암에서도 비슷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후속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시간항암요법의 국내 의료 현장 도입을 촉진하는 데 큰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 CI는 ... ...
[주말N수학] 뇌파로 만드는 나만의 노래
수학동아
l
2022.12.10
뇌파를 사용해 각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창작할 수 있을까. 수학동아DB 뇌파를 사용해 각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창작할 수 있을까. 이하 ...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 저작자는 ‘저작물을 창작한 자’로 명시하기 때문이다.
결론
적으로 인간의 창작물만 저작권법의 대상이 된다. ... ...
"공룡 멸종 소행성 논문 조작됐다"…고생물학계 스캔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7
함께 지난 3일 논문 피드백 사이트인 펍피어(PubPeer)에 "(드팔라의 논문이) 이미 알려진
결론
에 맞게 조작됐다"는 성명을 냈다. 드팔라 연구원의 논문에 있는 선 그래프와 그림은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된 것이 아니라 수동으로 만들어진 조작된 데이터라는 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드팔라 ... ...
[주말N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놀랐다...정수론 난제 해결한 고3
수학동아
l
2022.12.03
가족들은 지금 있는 곳에서 목적지까지 가려면 대각선으로 가는 게 가장 짧다는
결론
을 냈어요. 저는 정확하게 대각선으로 가는 길이 없어 계단식으로 지그재그로 가야 하니 이렇게 가는 것도 언제나 짧은 길은 아니라는 주장했었어요. 부모님이 그 답에 놀라셨던 기억이 나요." Q. 수학을 잘하는 ... ...
[주말N수학]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
수학동아
l
2022.11.26
성립한다면 선택 공리를 인정하지 말아야 하는 게 아닐까요. 어떤 가정에서 도출해 낸
결론
이 말도 안 된다면, 우리는 그 가정을 포기해야 합니다. 구가 두 개로 늘어나는 현상은 분명 이상하니까요. 바나흐-타르스키 정리는 선택 공리를 포기해야 할 충분한 근거처럼 보입니다. ● 유용한 선택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