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어린이과학동아
"
깊이
"(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중독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14
있지요. 하지만 게임은 게임일 뿐이라는 사실을 잊고 현실 세계를 엉망으로 망가트리는 친구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왜 그렇게 게임에
깊이
빠져드는 걸까요? 게임을 좋아하는 나도 혹시 게임중독인 건 아닐까요? 게임중독은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요? 이 모든 질문의 해답을 찾으면‘건강한 게임 즐기기’클리어! 게임 뭐가 나빠? 게임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14
태풍이 바다를 지나며 바닷물을 사방으로 휩쓸어갔고, 그 자리를 채우기 위해 심해의 바닷물이 올라왔거든. 바닷물을 거슬러
깊이
잠수해야 했기 때문에 노틸러스호도, 나와 모모도 굉장히 지쳤지. 우리는 외삼촌의 조언에 따라 쿠로시오해류를 이용하기로 했어. 필리핀 앞바다에서 일본과 우리나라로 흐르는 쿠로시오해류는 따뜻한 바닷물이야. 속도는 시속 5~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14
만난 아찔한 순간들 생물은 바다에서 태어났어. 현재 바다에는 1만 7000여 종의 식물과 15만 2000여 종의 동물이 살고 있지. 하지만 바다
깊이
내려가면 햇빛이 들어오지 못해 식물이 광합성을 할수 없잖아. 또 무겁게 짓누르는 압력과 서늘한 수온은 어떻구. 난 깊은 바닷속에는 어떤 생명체도 살 수 없다고 확신했어.그런데 내 생각이 틀렸어. ...
한여름에 떠난 북극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28
반가운 탄생 북극의 겨울은 춥고 길다. 극야현상 때문에 낮에도 밤처럼 짙은 어둠이 내리는 날이 이어진다.
깊이
를 알 수 없을 만큼 아득히 쌓인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북극. 추위가 모든 생명의 흔적을 쓸어가 버린 듯 조용하다. 북극의 자연환경은 생명체가 살아가기에 결코 만만치 않다. 그러나 생명의 탄생은 북극이라고 해서 피해가지 않는다. 지난 ...
두근두근 화성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3
화성 표면을 돌아다니고 있는 탐사로봇 스피릿과 오퍼튜니티는 물의 흔적을 꽤 많이 발견했다. 예를 들어 오퍼튜니티는 화성에 5cm
깊이
의 소금기 있는 물웅덩이가 있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과학자들은 이 곳이 과거에 바다였다고 말한다. 스피릿도 물이 흘러서 만들어지거나 변한 암석을 발견했다. 유럽의 과학자들은 최근 화성에서 물에 잠겨 만들어진 진흙 ...
동요속 숨은 과학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28
바닷물에 두 손을 담그면" 바닷물의 색깔은 일반적으로 파란색이다. 파장이 긴 붉은색이나 노란색 빛은 바닷물에 빨리 흡수돼 물 속
깊이
들어가지 못한다. 이 때문에 바닷물 색깔은 파장이 짧은 빛, 즉 파란색으로 보인다. 열대지방과 아열대 지방 연안의 바닷물은 초록색을 띠고 있다. 이것은 바닷물에 있는 황색 색소가 파란색과 섞여 생긴 색깔이다. 황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214
이용하는 방법만이 개발되어 있다. 무시무시한 수압 바다는 아래로 10m 내려갈 때마다 1기압씩 높아진다. 사람이 내려갈 수 있는
깊이
는 보통 30m, 많은 훈련을 한 사람도 70m 정도만 내려갈 수 있다. 사람이 더 깊은 곳으로 내려가면 수압에 의해 몸이 찌그러지고 만다. 해미래가 6000m의 심해에 들어가면 손톱 위에 600㎏의 물체를 올려놓 ...
과학의 역사와 함께한 개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29
그랬더니 종소리만 듣고도 개들이 침을 마구 흘렸다는 거 아니겠어! 파블로프 박사는 이와 같은 행동이 뇌에 있는 특정한 부분과
깊이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고, 심리학을 통한 동물 행동 연구의 기초를 세울 수 있었던 거야. 어때? 이 정도면 개들도 과학의 오랜 친구 맞지? 올해는 특히 어과동에서 우리를 취재하러 많이 왔으면 좋겠어! 조건 반사 ...
잠(1)-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30
긴장 정도에 따라 렘수면(REM)과 비렘수면(NREM)으로 나뉘어져 있어요. 비렘수면은 다시 4단계로 나누어지는데 단계가 높을수록 잠이
깊이
든 상태랍니다. 잠이 들기 시작하면 4단계의 비렘수면을 거쳐 렘수면 단계로 들어가게 됩니다. 우리는 하룻밤 동안 렘수면과 비렘수면의 단계를 4~5차례 거치게 됩니다. 뇌는 깨어 있다?! 과거에 사람들은 잠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2)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11
어디에서나 공통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기준이 필요했어요. 1936년 미국의 지질학자 리히터 박사는 지진계에 기록된 진폭을 진원의
깊이
나 진앙까지의 거리를 생각하여 숫자로 표시했는데, 이것이 바로 리히터 규모예요. 그러나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와 닿는 것은 진도라는 단위입니다. 진도란 어떤 지역에 나타난 진동의 세기를 말하는데 사람의 느낌과 물체의 ...
이전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