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손
불리
해
공동해손
공동
단독해손
단독
d라이브러리
"
훼손
"(으)로 총 406건 검색되었습니다.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꿈꾸었던 것이 현실화했을 때 틀린 부분이 발견됐다고 해서 작가의 과학적 상상력마저
훼손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윤태원씨는 말한다. 같은 맥락에서 수십년전에 쓰여진 로봇시리즈나 우주여행관련 SF들도 사실여부와는 별개로 당대의 사람들이 그렸던 미래상이나 세계관을 드러내기 때문에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미세한 부유물체로
훼손
되고 가스가 누설돼 낙하하곤 했다. 태양전지표면도 미물에
훼손
돼 효율이 저하되는데 원격측정으로도 약 10%씩 매년 감소되고 있음이 판명되기도 했다.미세물 쓰레기를 인공적으로 한곳으로 모아 하나의 큰덩어리로 뭉치게한 후 특수한 로켓으로 견인하는 방법 등 묘안들이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높지않아 번식에 별 어려움이 없다. 전문가들은 이 양식어들이 자연적인 유전자풀(pool)을
훼손
할 뿐 아니라 야생어들이 유전자를 변화시켜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손상시킬 것이라고 예견했다.생태계교란이 위험수준에 이르렀다는 판단이 내려지자 곧 기존의 정책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쉽게 파묻힐 수 있는 퇴적환경과 저층에 상존하는 차가운 수층이 있어 목재 선박들이 큰
훼손
없이 보존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다른 바다와 비교해 수심이 얕아 탐사가 용이할 수도 있다. 지중해가 개척자들의 끝없는 노력에 의해 서양 고고학의 보고가 된 것처럼, 황해에서도 역사가 우리의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쌓이게 된다.이런 전하를 덩어리째 고스란히 외부로 들어낼 수 있다면 화상정보를
훼손
없이 옮길 수 있는 것이다. CCD를 전하결합소자라고 부르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하나하나의 감광소자는 이를테면 눈의 시세포이며 CCD는 시신경이라고 할 수 있다.전기신호인 이 화상정보는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존재를 합리화시켜 주었지만 현재는 슈퍼컴퓨터가 이런 질문에 충실히 답해준다. 밀림이
훼손
되어감에 따라 차츰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량이 많아져 간다고 과학자들은 분석한다. 만일 이산화탄소량이 두배로 증가된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 것인가.최근 과학자들이 추적한 이산화 탄소의 증가에 따른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소멸과 생태계변화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고 △송도 영도지구의 토취장개발에 따른 자연
훼손
이 크게 우려된다는 것이다.그러나 지난해 10월 청와대 정책조정회의에서 이러한 부처간 이견은 세부계획 및 사업실시단계에서 반영하기로 하고 인공섬건설계획은 부산시 원안대로 확정됐다.이에 대해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따라서 50억 인구를 먹여살릴 수 있는 산업화의 진전은 불가피하며 이와동시에 환경
훼손
에 대한 복구작업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산업화와 환경보호 두가지의 '중용'을 지키는 것이 매우 어려우면서도 반드시 인류가 지켜나가야할 과제라고 리브는 말한다.공상과학소설에서 등장하는 인류의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비무장지대를 꼽을 수 있습니다.분단 이후 비무장지대는 공업화, 인구집중 등이 없어
훼손
되지 않고 천연의 상태로 보존돼 왔습니다. 덕분에 강원도 고성군 고진동 지역의 산양 서식지 대성동에서 발견된 재두루미 두루미 월동지 등 멸종위기에 놓인 동물들의 보금자리가 비무장지대를 따라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몰락 이후 다시 베를린으로 되돌아오는 등 수난을 겪었다. 2차대전 중에 많은 부분이
훼손
되기도 했지만 1958년 서베를린시가 원상복구한 뒤 동베를린에 양도해 더욱 유명해졌다.「승리의 기둥」앞에서브란덴부르거토어에서 서베를린 쪽으로 내려오면 '승리의 기둥'이 있다. 전장 67m인 이 기념물은 1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