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협회"(으)로 총 1,2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조셉 콘스탄과 존 리들 교수는 2012년 9월, 과학기술 분야 잡지인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스펙트럼(IEEE Spectrum)’에 쓴 칼럼에서 “아마존은 머신러닝 추천엔진으로 매출이 10~30% 정도 늘었다”고 밝혔다. 넷플릭스도 협업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로 엄청난 성공을 거둔 것으로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8년 연속 3할 이상의 타율을 보이며 팀의 중심 타선을 맡아왔다.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가 수여하는 2017년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한 기아타이거스의 양현종 선수 역시 왼손을 주로 사용하는 투수이고, 미국 메이저리그에서는 LA다저스의 왼손 투수인 클레이턴 커쇼가 수년째 최고의 투수로 군림하고 ... ...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여기서는 빛 공해를 줄이기 위해서 여러 가지 활동을 하고있답니다. 특히 국제밤하늘협회는 2001년부터 어두운 밤을 유지하고 있는 세계 곳곳을 찾아 ‘국제 밤하늘 보호 공원’으로 지정하고 있어요. 별빛이 가득한 아름다운 밤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거예요. 현재까지 미국과 독일, 스페인, 영국 ... ...
- Part 3. 군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이 구역의 ‘춤꾼’은 나야 나!홍학은 적게는 50마리, 많게는 수천 마리까지 거대한 무리를 이루어서 살아요. 과학자들은 홍학의 서식지가 정해져 있고, 또 무리 속에 함께 있으면 포식자로부터 더 안전하게 새끼를 보호할 수 있어서 무리를 이루어 살게 됐을 거라고 추정해요. 또, 짝짓기를 할 ... ...
- Part 1. 깃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저 새의 깃털이야. 붉은색을 띠는 아주 아름다운 깃털을 가지고 있군. 가만 있자…, 붉은색 깃털이라면 혹시…? 아름다운 붉은색 깃털의 주인공, 홍학!홍학의 ‘홍(紅)’은 ‘붉다’는 뜻이에요. 영어로는 ‘플라밍고(flamingo)’ 라고 하는데, 라틴어로 ‘불꽃과 같은 색깔’ ... ...
- Intro. 붉은 깃털이 새우 때문? 홍학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친구들 안녕? 나는 철새 연구가 ‘와타가타 버드’야. 얼마 전 서해안에서 수상한 새 한 마리가 나타났다는 제보를 받고 달려왔지. 며칠간의 잠복 수사 끝에 소문의 새를 보게 됐는데…. 그런데 저 새는 우리나라에서는 못 보던 종류네? 대체 정체가 뭘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붉 ... ...
- Part 2. 부리,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독특한 부리로 먹이를 먹는 홍학!동물원에서 홍학이 먹이를 먹는 모습을 본 적이 있나요? 홍학은 부리를 물속에 거꾸로 넣어 먹이를 찾아요. 혀와 턱을 빠르게 움직여서 물을 빨아들이고, 물속의 갑각류와 남조류 등을 걸러 먹는답니다. 홍학이 이렇게 먹이를 먹을 수 있는 건 독특한 부리 덕분이 ... ...
- [과학뉴스] 요다 닮은 박쥐, 새로운 종으로 인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2009년, 국제 보존 협회 신속 평가 프로그램의 과학자들이 파푸아뉴기니의 열대우림에서 영화 ‘스타워즈’의 ‘요다’를 닮은 박쥐를 발견했어요. 이 박쥐는 요다처럼 귀가 위로 삐죽 서 있고 입이 약간 튀어나왔으며, 눈도 옆으로 길게 찢어진 생김새를 하고 있어요. 둘둘 만 종이를 양쪽에 꽂아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과학자문위원 수는 750여 명이다. 과학자문위원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막스플랑크협회 소속이 아니면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과학자들로 구성된다. 풀데 박사는 “연구단장(Director)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과학자를 우선적으로 선발하며, 같은 대학, 연구소, 혹은 공동연구를 진행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발견한 무늬를 이용해 에스허르처럼 그림을 그리기도 했습니다. 그 중 하나는 미국 수학협회 로비 바닥에 새겨져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는 걸 보지 못하고 2017년 7월 2일 94세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라이스의 발견 이후 1985년 롤프 스타인이 14번째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