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력
협조
단합
단결
원조
공동 작용
제휴
d라이브러리
"
협동
"(으)로 총 51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소화효과 각양각색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대견스럽다.영훈) 처음
협동
이 안되고 참여도 잘 이뤄지지 않았으나 점점 지날수록
협동
이 잘 되고 참여하는 것도 늘었다. 이번 실험으로 소화제의 성분과 이름들을 잘 알게 됐다. 그리고 조장의 폭력으로 1학년들은 맞으며(?) 실험했다.연준) 너무 급하게 했지만 처음하는 실험치고는 굉장히 ... ...
능란한 화술, 지능적 의사소통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바느질하듯 잎들을 엮어 살 집을 만든다. 이처럼 미성년자들까지 동원한 조직적인
협동
사회을 유지하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고도로 발달한 화학언어다.개미는 터의 경계를 표시하는 일, 그리고 먹이나 침입자를 발견한 곳을 알리는 일 모두를 불과 몇 가지의 간단한 화학단어들을 적절히 ... ...
동맥경화 해결사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인정해서였다.실제로 하나의 약이 시장에 나오기까지는 수백명 이상 과학기술자의
협동
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현대약 발견은 화학, 생물학, 공학, 의학의 모든 분야가 망라된 오케스트라로 비유된다. 로바스타틴 개발에는 머크의 연구소장인 로이 바겔로스와 그와 수십년간 인연을 가졌던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빛의 본질이 입자인지 아니면 파동인지를 규정하는 것은 무척 어려운 문제다. 두가지 입장 사이에 있었던 경쟁과 대립은 과학의 역사상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됐다. 입자설은 17세기부터 18세기 초반까지 호이겐스, 뉴턴, 라플라스 등 당대의 유명한 과학자들로부터 지 ... ...
희생정신 충만한 아마존 왕국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소설로나 가능한 것이 개미사회에서는 어느 정도 현실로 나타나는 셈이다. 강압에 의한
협동
이 아니라 스스로 선택한 자기희생에 바탕을 둔 사회이기 때문일까. 그러나 거동이 불가능할 정도로 비대해진 몸으로 일개미들이 떠주는 먹이를 받아 먹고 평생 알만 낳는 여왕개미를 볼 때마다 누가 ... ...
'인공생명'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틀면 된다.충돌을 회피하는 개체와 벽 쪽으로 가고자 하는 개체가 있다면 2개 개체가
협동
하는 창발적 행동으로 벽을 따라가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벽과의 거리라는 가시적 변수는 사용되지 않는다. 단 2가지 개체만으로도 이러한 새로운 기능이 가능하므로 보다 많은 개체의 집합적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대부분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에는 미분과 적분단원에 각각 뉴턴(1642∼1727)과 라이프니츠(1646∼1716)의 사진이 실려있다. 미분과 적분은서로 역(逆)연산의 관계에 있으므로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미적분법의 공동발견자라고 생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때 '공동' 이란 말은 무슨 뜻일까.두사람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전화에 대한 아이디어를 먼저 떠올리고 경험도 앞선 그레이는 상업적 가치를 앞세우다 우선권을 놓쳤다. 전화 발명에만 골몰한 벨의 승리였다.최초로 전화를 발명한 사람은 벨(Alexander Graham Bell)이다. 최근 광고에서 '역사는 1등만을 기억합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벨의 사진이 커다랗게 실렸다. 그러 ... ...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그 알들이 부화한 후 애벌레들을 키우는 일까지 새 제국을 건설하는 전 과정에 걸쳐
협동
을 아끼지 않는다.가담하는 여왕의 수에 따라 자본도 그만큼 증가하고 새끼를 돌볼 일손도 많아지는 까닭에 이 합작회사들은 개인회사에 비해 훨씬 빨리 일꾼들을 키워낸다. 이같은 합작은 대부분 같은 종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대학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앞으로 메카트로닉스 분야를 중심으로 학생과 교수를 교환해
협동
연구를 벌일 계획이다.개인적인 연구도 소홀히 할 수 없었다. 87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교환교수로 활동했으며, 현재 남해안 어패류에 사는 미생물 생태를 연구하고 있다. 이외에도 93년부터 경남신문사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