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슈뢰딩거 고양이의 생과 사, 확률을 계산하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는 상보성 원리를 관측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8월 1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i9268양자의 중첩상태를 관측하기 위해 넘어야 할 가장 큰 과제는 파동함수의 붕괴다. 시스템 내부에서 양자를 관측하면 상보성이 사라지고 ... ...
물질의 특성 살피는 새로운 도구, 위상 수학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브리스톨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위상 수학을 이용해 액정의 새로운 성질을 밝혀 국제
학술
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습니다. 이번 결과는 해당 호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습니다. 위상 수학하면 ‘손잡이가 하나 달린 컵과 도넛은 구멍이 한 개인 위상적으로 ... ...
미 국방부 보고서 행간 읽기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칼 세이건은 어린 시절부터 UFO가 외계인의 우주선이라고 믿었다. 1963년에는 천문분야
학술
지 ‘행성 및 우주과학’에 우리 은하계의 발달한 문명에 속한 외계인이 핵융합이나 반물질로 추진되는 아광속 우주선으로 지구를 방문했을 가능성도 제기했다.1966년 그는 UFO에 대해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 ...
[한페이지 뉴스] 14개 원소 품은 ‘슈퍼 다원소 촉매’의 탄생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원소를 포함한 촉매를 개발하는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케미컬 사이언스’ 8월 20일자에 실렸다. doi: 10.1039/D1SC0198 ... ...
[한페이지 뉴스] 선사시대 영장류도 당 중독?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멸종하고, 어떻게 적응하고 진행했는지를 추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9월 9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598-021-95330 ... ...
[수학뉴스] 새의 알 모양을 설명하는 보편적인 수학 공식 개발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달걀과 같은 새의 알은 생명의 탄생을 위한 완벽한 모양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런 모양은 효율적인 방식으로 모체를 빠져나갈 수 있는 ... 산업 전반에 이 공식이 적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뉴욕 과학 아카데미 연보’ 8월 23일자에 발표됐습니다 ... ...
[한페이지 뉴스]표준모형 넘어설 5번째 힘 범위 좁혔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표준모형은 17개의 기본입자와 중력을 제외한 3개의 기본 힘으로 우주를 설명한다. 지금까지는 가장 완벽한 이론으로 꼽히지만 중력을 설명하 ... 사용해 실험해 측정 오차를 더욱 좁혀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9월 9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ence.abc279 ... ...
[한페이지 뉴스] 화성 여행, 화창한 2030년대에 떠날까?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우주 날씨를 분석한 뒤 우주방사선의 영향이 가장 적은 시기를 예측한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우주 날씨’ 9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29/2021SW002749연구팀은 태양 주기에 따른 우주방사선의 영향과, 우주방사선이 우주선과 탑승객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토대로 방사선으로부터 안전한 우주선을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도입되면서 네모꼴 글자를 사용하기가 힘들어졌다. 1976년 조영제 서울대 미대 교수가
학술
지 ‘조형’의 창간호에 ‘한글기계화(타자기)를 위한 구조의 연구’라는 제목으로 최초의 탈네모꼴 글꼴을 발표했다. 탈네모꼴 글꼴은 마치 글자의 닿자(초성)가 빨랫줄에 걸려 있는 것처럼 받침에 따라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심지어 가시가 돋아있는 캐나다호저의 털을 뽑아간 사례도 한 건 있었습니다.
학술
논문 속 털을 뜯긴 동물 11마리 중 열 마리는 새를 아예 무시하거나 가만히 있었다고 하네요. 연구원팀은 이 현상에 ‘클렙토트리키(kleptotrichy)’란 이름을 붙였습니다. ‘훔치다’란 뜻의 그리스어 ‘klepto’와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