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진행
경과
강좌
진로
코오스
길
d라이브러리
"
코스
"(으)로 총 40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들은 사랑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새끼고기를 삼켜버리고, 어미새는 새끼새를 쪼아 죽여버리고 만다. 안개때문에
코스
를 바꾼 비행기가 어느 은여우 사육장의 상공을 낮게 지나갔을때 사육중인 어미 여우들이 자기 새끼를 모두 먹어버린 유명한 일화가 있다. 물론 이러한 상황에서도 인간의 모성애에 가까운 것이나 혹은 닮은 점이 ... ...
대분화를 일으킨 세계의 화산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용암유출 때는 ‘히로’시를 구하기 위해 폭탄을 투하하여 용암류가 흐르는
코스
를 변경시켰다. 이방법으로 시가지가 용암에 덮이는 것을 막는데 성공했던 것이다. 또 가깝게는 1980년 시칠리아섬의 에토나화산분화 때도 폭약으로 용암류가 흐르는 진로를 변경시키는데 성공했다.아이슬란드 남쪽의 ... ...
견학명소가 된 국립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따라 열심히 키보드를 두드리고 있었는데, 서울사대부중 1학년에 다니는 한 남학생은 "8일
코스
의 강습기간중 3일째 나오고 있다. 하루에 3시간씩 익히고 있는데 이제 컴퓨터가 어떤 것인지 조금 이해가 된다"며 진지한 자세로 임하고 있었다. 같은 학교에서 3명이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참가했다는 것 ... ...
상상을 초월한 첨단의 종이과학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펄프섬유의 성분은 셀룰로즈(cellulose)라는 천연 고분자화합물이다. 설탕과 같이 글루
코스
(glucose)라는 화합물이 포함돼 있지만, 설탕이 물에 녹는 데에 비해서 셀룰로즈는 물에 녹지 않는다. 화장지가 녹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종이를 구성하는 섬유끼리의 얽힘이 풀어져 물 속에서 흩어지기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과학과 인간'이니 '기술과 사회' '환경과 인간' 같은 류의 강좌가 무려 2천개
코스
나 개설돼 있다고 해요. 과연 우리는 얼마나 '과학론' '기술론'을 생각해보고 있읍니까. 기계가 되지 말라고 해도 기계처럼 돼버리는 게 현재 우리 과학기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실정입니다. 새해의, 새로운 시대는 ... ...
제주지역 관광예약시스팀 개통 관광의 온라인시대 개막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제주지역 6개호텔 객실 1천여개와 이지역 여행사가 제공하는 8종류의 정기관광
코스
를 데이타통신의 호스트 컴퓨터에 수록. 이를 전국의 여행사(1단계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의 단말기와 연결 컴퓨터로 예약하고 발매한다. 이로써 제주지역의 관광상품은 대구이건 광주이건 동일하게 공급돼 ... ...
태풍은 상층고기압의 주변을 돈다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그대로 서쪽으로 계속나가 중국으로 가는
코스
와 북쪽으로 조금 가다 동쪽으로 가는
코스
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뒤의 경과를 보면 4일에는 오키나와 남쪽으로 나갔고 5일에는 일본 큐슈 남서를 통과했고 7일에는 동해로 빠져나갔다.이때의 상층기상은 그림과 같았다. 2일에는 일본 남동해상 591 ... ...
PART 2 도대체 어떻게 벌었나?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의하면 코레카와씨는 '예외적인 존재'라는 것이다.일본에서는 억만장자가 되는 통상적인
코스
가 있는성 싶다. 우선 자기의 독자적인 아이디어로 사업을 시작한다. 물론 사업을 위해서는 자금이 필요하므로 스스로 저축한다든지 친구 친지 친척 은행 등에서 빌린다든지 하여 자금을 만들어야만 한다. ... ...
프로야구 최전선 컴퓨터가 연출해낸 한 방의 홈련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두드릴 수 있는
코스
가 4,5,8번으로 한정되어 있었으나 87년에 접어들자 자신의 약했던
코스
에 대한 대비책을 이미 세우고 있었다는 것을 위의 도표가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아직 2개의 도표가 공히 보여주는 수치는 이 타자가 낮은 볼에 약하는 것을 숨기지 못한다.51%의 확률이 있을때 ... ...
생생한 현장경험, 나와 학생에게 모두 유익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줄어들었다는 느낌입니다. 81년도만 해도 나비채집이 허용돼 있었을 때인데, 어리목
코스
에 나비들이 무척 많아서 닥치는대로 포충망을 휘둘렀던 기억이 납니다. 당시 한라산 정상부근에서는 고산성인 가락지나비 산굴뚝나비 등 희귀한 나비들도 채집했었어요. 이번에 보니까 개체수가 너무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