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기
초엽
d라이브러리
"
초창기
"(으)로 총 415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전문가의 아전인수식 해석은 곤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무엇이고 중생대는 어떻게 구분한단 말인가.동일과정설과 급변설은 오래 전 지질학
초창기
에 이미 논란되고 걸러진 문제다. 이를 여기서 다시 문제삼을 필요도 없지만 일반 독자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하면 이렇다. 동일과정설이란 현재 지구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자연현상이 현재만이 아니고 ... ...
3. 자신에게 적합한 수준을 고르도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주의를 기울인다면 충분히 자신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찾을 수 있다.교육용 소프트웨어
초창기
에는 교과목을 프로그램화한 패키지가 많이 선보여 교과과정이 바뀌게 될 경우 쓸모없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지금은 교과목 패키지와 함께 영어단어 및 컴퓨터에 대한 학습을 도와주는 보조 프로그램, ... ...
세계 과학기술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더 고려대상에 넣으며 정제돼왔다. 인용도분석은 1950년대에 개발되기 시작했는데
초창기
엔 분석가들이 일일이 주어진 과학논문에서 직접 인용된 참고논문의 숫자를 헤아려서 쓰곤 했다.그러나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해 방대한 규모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고 특허에까지 그 영역을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수습하여 고속컴퓨터 개발을 계속했다. 그 결과 스타100이라는 제품을 만들어 냈다. 또
초창기
컴퓨터개발의 선두주자였던 일리노이대학에서는 할아버지격인 일리악(ILLIAC)의 뒤를 이어 일리악 Ⅳ라는 고속컴퓨터를 생산했다. 스타 100이나 ASC 일리악Ⅳ 등은 모두 전통적인 컴퓨터구조를 과감하게 ... ...
2. 공간이동이 자유롭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백만원대 혹은 50만원대 AT급 노트북의 출현도 멀지 않으리라 보여진다.컴퓨터의 크기
초창기
의 컴퓨터는 큰 방 하나를 전부 차지했다. 그래서 전산실이라는 말이 생겨났고 컴퓨터를 이용한 모든 작업은 그속에서만 가능했다. 그후 CPU나 기억장치들은 전산실에 남겨두고 터미널만 다른 방으로 뽑아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판단한다든가 추론한다든가 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강한 AI」와「약한 AI」1950년
초창기
컴퓨터연구자의 한사람이었던 튜링은 '컴퓨터에 지능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재미있는 실험을 제안했다. 흔히 '튜링 테스트'라고 불리는 이 실험은 3개의 방에 인간과 컴퓨터 그리고 질문자를 각각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특별팀을 구성해 활동하기 때문에 열심히 하는 사람은 1년에 20회 이상 현장을 찾는다.
초창기
부터 활동한 김용현씨(47·자생식물동호회 부회장)는 우리나라 총식물 4천종류 중 7백종류를 사진으로 기록했다. 개인사업을 하기 때문에 직장에 얽매인 사람보다는 자유스러운 김씨는 87년 7월에 공주군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초창기
컴퓨터연구는 뇌연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60년대이후 양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발전해왔는데 최근 이를 재결합하려는 시도가 매우 활발하다.이 세상에는 두가지 생각하는 장치가 있다. 하나는 우리의 두뇌이며 또 하나는 컴퓨터다. 컴퓨터가 탄생했을 때 컴퓨터는 '인공두뇌'라고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설계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취지에서 우리나라 아마추어 천문의
초창기
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자코비니 유성우로 시작1972년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적합한 자코비니 유성우(유성들이 밤하늘의 한 점으로부터 무수히 떨어지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관측지로 지목되자, ... ...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화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전롱회’(電弄會)와 ‘셈틀소리’라는 두개의 동호인모임으로 살라진다. 전통회가
초창기
부터 전자음악에 관심을 두고 음악을 전공한 교수들 중심의 프로집단이라면, 셈틀소리는 컴퓨터통신을 하다가 음악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모인 순수한 아마추어 집단이다. 전자기기를 쓰는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