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통 거울로 그리는 작품! 아나모르포시스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본책 20쪽과 함께 보세요! 원통 모양 거울에 비친 모습을 그대로 그려 넣은 그림을 ‘반사 왜상’ 혹은 ‘아나모르포시스’라고 해요. 독일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화가 한스 홀바인이 원통에 비친 해골의 비틀린 모습을 그대로 그림에 그려 넣었지요. 우리도 종이와 색연필 그리고 원통 거울만 있다면 ... ...
- [과학 뉴스] 개미의 아버지 ‘에드워드 윌슨’ 교수, 하늘의 별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강연, 사회 활동 등을 통해 사회적으로도 많은 목소리를 냈습니다. 일생 동안 20권이 넘는 책을 집필하며 자신이 연구한 내용을 세상에 설득시키려 노력했어요. 그는 1996년 하버드대학교 교수직에서 은퇴한 뒤에도 명예교수와 비교동물학 박물관의 곤충학 큐레이터 활동을 이어나갔으며, 이후 ... ...
- [역설의 나라 앨리스] 제2장. 모순 웅덩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홀릭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라는 책의 에필로그에서 등장하는 장난인데, 어렸을 때 이 책을 재미있게 읽었기 때문에 가져와 봤습니다. 그런데 만약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반례가 ‘정말로’ 발견됐다는 소식이 인터넷에 도배된다면 어떨까요? 애초에 그런 일이 가능할까요? 모순적인 수학 체계란 ...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 어디다 쓰냐고요? 우리 모두 쓰고 있습니다!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막연히 외우지 않아도 원소와 자연스레 친해질 겁니다. 재미있게 화학을 설명해 주는 이 책의 저자는 최근 많은 TV 프로그램에 출연해 “궁금할 수 있잖아요?”라는 어록을 남긴 곽재식 작가입니다. 곽 작가는 KAIST 화학과를 졸업한 화학도이자, 단편소설 와 한국의 전통 괴물을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토끼가 번식왕인 이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유명해진 수학자가 있어. 이탈리아의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야. 1202년에 쓴 에서 1쌍의 토끼가 1년 뒤에 몇 마리가 될지 계산하는 문제를 소개했어. 어떤 문제인지 알아볼까?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는 이탈리아의 상업 중심지인 피사에서 태어나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를 따라 이집트, ... ...
- 날짜가 정답 되는 달력이 있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본책 14쪽, 놀이북 23쪽과 함께 보세요! 파고 파도 끝이 없는 달력의 매력! 이번엔 독자라면 좋아할 만한 달력을 소개할까 해요.바로 날짜 하나하나가 정답이 되는 ‘수학달력’이에요! 매일 새로운 퀴즈를 만나요! 우리나라 수학자들의 연구기관인 대한 수학회(KMO)는 매년 수학달력을 ... ...
- 게임으로 만나는 놀러와! 도토리 슈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본책 72쪽과 함께 보세요! 폭스 마켓이 들어온다는 소식에 좌절한 솜 사장. 그때 할머니의 홀로그램 편지가 도착했어요. 삼총사는 할머니의 조언을 듣고 ‘경쟁’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기로 했어요.‘건강한 경쟁’이란 뭘까요? 함께 이야기 나눠 봐요. ...
- [작심삼일의 심리학] 보인다… 미래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권 살 겁니다. 3일까진 아주 의지가 넘칠 거예요. 그리고 5일, 10일, 20일이 오면 운동화와 책을 애써 무시할 겁니다. 신년계획을 써 둔 종이는 이제 어디 갔는지 행방을 찾을 수도 없겠죠. 미래가 뻔히 보이는 이유는, 오랜 세월 동안 전 세계 사람들이 겪어온 일이기 때문입니다. 오죽하면 ... ...
- [이달의 책] 궁극의 이론을 향한 물리학자의 여정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는 여러 조상 집단의 다양한 ‘섞임’의 결과로 탄생했다. 책에서 이 교수는 수십만 년 동안 이어져 온 다양성의 후손이 바로 우리임을 강조한다. 인간다움을 추적하는 과거로의 여정을 통해 현재 우리가 놓치고 있는 인간다움의 특성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보자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보이는 건 다 재봐! 내 다리 길이는 몇 뼘?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 본책 28쪽과 함께 보세요! “ 독자의 몸길이를 기준으로 길이를 재보자!” 수콤이가 여러분의 몸을 이용해 새로운 길이 단위를 만들려고 해요. 내 한 뼘이 얼마만큼인지 어서 알려주세요. 또 내 몸에서 어떤 부위로 길이를 재면 좋을지 추천도 해주자고요~!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