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철새의 야간 이동, 단백질 변이 덕분?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CRY4 단백질 변이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9월 4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야간에 이동하는 철새와 유사한 단백질을 가진 비둘기의 CRY4 단백질의 결정화 구조를 분석했다.그 결과 특정 부위에 유전적 변이가 생긴 일부 철새의 CRY4 단백질이 빛에 더 민감하게 ... ...
[수학뉴스] 50년 전과 지금, 음악 시장은 수학적으로 다르다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예상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영국 왕립 오픈 사이언스 학회지’ 8월 21
일자
에 게재됐습니다. ... ...
[과학뉴스] DNA 그물로 감싼 약물, 유전자가위로 싹둑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소재를 만들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23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단일 가닥 DNA와 크리스퍼를 이용해 하이드로겔 형태의 신소재를 제작했다. 먼저 단일 가닥 DNA를 이용해 그물 형태의 하이드로겔을 제작하고 그 안에 항암제 등 약물을 넣을 수 있게 ... ...
[과학뉴스] 병원균 잡는 ‘착한’ 호중구가 담석 유발?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활동이 담석 생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이뮤니티’ 8월 15
일자
에 발표했다. 담석은 쓸개즙 성분이 담낭이나 담관 내에서 응결되거나 침착돼 만들어지는 결정성 구조물로 극심한 통증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백혈구의 일종인 호중구가 뿜어내는 DNA와 단백질을 담석 생성의 ... ...
[과학뉴스] 구글 딥마인드, 의사보다 빨리 신장질환 진단하는 AI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빠르게 급성 신장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AI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31
일자
에 발표했다. 이 AI는 미국 보훈병원 130곳에서 치료를 받은 18~90세 환자 70만여 명의 63억5000만여 개 증상을 담은 데이터를 학습했다. 연구팀은 이 AI를 이용해 급성 신장 손상 환자를 확진 48시간 전에 55.8%까지 ... ...
[과학뉴스] 화학약품 안 넣고 가습기 물 소독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완벽히 살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응용 촉매 B: 환경’ 7월 2
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이 살균시스템의 핵심은 촉매의 전기전도도를 높인 것이다. 연구팀은 티타늄 산화물인 티타니아(TiO₂)를 촉매로 썼는데, 그간 티타니아 촉매는 전기가 잘 흐르지 않아 실제로 살균이나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CNIS) 농업표준화연구소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케미컬 센시스’ 2017년 7월 5
일자
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사람이 마라 성분인 산쇼올을 섭취하면 농도에 따라 그리고 구강 내 접촉 부위에 따라 강도를 다르게 느낀다. doi: 10.1093/chemse/bjx038연구팀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초피에서 산쇼올을 ... ...
[수학뉴스] 물고기의 움직임 포착해 해양 생태계 지킨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도움이 될 것”이라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7월 12
일자
에 게재됐습니다. ... ...
[과학뉴스] 외계 전파 위치, ‘원샷 원킬’로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키스 배니스터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 책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이 고속전파폭발(FRB)의 위치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FRB는 우주에 ... 위치 확인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9
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doi: 10.1126/science.aaw590 ... ...
[과학뉴스] 위장크림처럼 세포막 바른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피할 수 있는 박테리아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8월 6
일자
에 발표했다. 박테리아는 유전자 조작이 쉽고 증식이 빠르며 특정 질병 부위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어 조영제나 약물 전달 등 진단과 치료에 광범위하게 이용됐다. 하지만 박테리아로 인해 부작용이 나타날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