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d라이브러리
"
의학
"(으)로 총 2,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연구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렙틴 단백질에 관한 연구였다. 이 연구도 올해 노벨 생리
의학
상을 받은 산소농도와 관련이 있다. 저산소 상황에서 렙틴이 암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렙틴은 저산소 상황에서 G9a라는 메틸화 효소에 의해 메틸화된다. 메틸화된 렙틴은 HIF- ...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내용을 비유적으로 설명할 때 많은 도움을 받는다”고 말했다.또한 이 작가는 과학이나
의학
관련 내용을 다룰 때면 참고한 논문을 반드시 주석으로 달아 정보의 출처를 정확히 밝힌다. 그는 “독자에게 신뢰를 주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웹툰을 정식으로 연재하기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면역 항암 치료법이 많이 쓰이고 있다(2018년 노벨 생리
의학
상이 수여된 분야이기도 하다). 환자의 면역세포를 추출한 뒤 이를 배양해 환자 몸에 주입하는 것이다. 하지만 면역세포를 배양하는 동안 환자의 면역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때 인간화 돼지를 이용해 환자의 ... ...
THE NOBEL PRIZE 2019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Intro. THE NOBEL PRIZE 2019Part1.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Part2.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Part3.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Part4.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Part5.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이론이 실험과 관측을 통해 입증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반면 화학상과 생리
의학
상은 과학적 입증이 이미 논문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 물리학상보다는 그 기간이 짧은 편이다. 이런 통계에 비춰봐도 이번 수상은 늦은 감이 있다. 특히 휴대전화부터 노트북, 전기자동차에 이르기까지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기간은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신장 냉동과 해동 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김시윤 건국대
의학
전문대학원 연구교수는 “현재 기술로 하루 얼리는 것과 20년을 얼리는 것은 해동시키는 데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실제 현실에서도 냉동인간이 되길 희망하는 사람들은 100년 단위로 냉동 기간을 ... ...
[검시관사건노트] 물속에서 떠오른 억울한 죽음 수중시체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살인 및 시체유기 혐의로 용의자를 검거하기 위해 출동했다. 현철호전북대에서
의학
박사를 받은 뒤 현재 전북지방경찰청에서 검시사무관으로 있다. 국내 최초로 곤충을 통해 사후 경과 시간을 추정하는 등 법곤충학 전문가다. 순천향대, 충남대 법과학대학원, 경찰수사연구원 외래교수를 ... ...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약초 서적의 내용을 바탕으로 개똥쑥에서 말라리아 치료제 성분을 찾아내 2015년 노벨생리
의학
상을 받기도 했지요. 이에 우리나라는 국가기관이 나서서 전통지식을 수집하고 있어요. 구전으로 내려오는 전통지식의 경우, 전통지식을 알고 있는 어르신들을 직접 찾아가 생물의 이름, 생물 채취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강아지 훈련용 ‘클리커’로 외과 수련의를 교육하는 방법을 발표한 미국 연구팀은
의학
교육상을 수상했다. 생물학상은 죽은 바퀴벌레와 살아 있는 바퀴벌레의 자기적 특성을 연구한 싱가포르 연구팀에게 돌아갔다.해부학상은 프랑스 우체부를 대상으로 왼쪽과 오른쪽 고환 중 왼쪽의 온도가 더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변화와 연관시키는 것도 흥미로운 연구 주제가 될 것이다. 권준수서울대병원 정신건강
의학
과 겸 뇌인지과학과 교수다. 유전적, 심리학적, 신경영상학적 기법을 이용해 인간의 정신 능력이나 강박, 조현병과 같은 신경정신병 등에 대한 인지과학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뇌파 측정을 위한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