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극
동기
안내
유혹
유도물
선동
유발
d라이브러리
"
유인
"(으)로 총 71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퀴벌레 없애는 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착안했다.할로이 교수가 만든 가로, 세로 3cm 크기의 바퀴벌레 퇴치로봇은 바퀴벌레를
유인
하는 페로몬을 주변으로 풍긴다. 이 로봇은 센서를 달아 밝은 곳을 스스로 찾아가도록 만들었기 때문에 이 로봇을 따라 모여든 바퀴벌레는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눈에 띈다.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바퀴벌레가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행동 등으로 나눌 수 있다동물 특히 곤충이 체외로 분비하는 미량의 물질 동료에게 성적
유인
을 포함한 어떤 행동을 일으키게 한다 예를 들어 개미가 동료에게 먹이가 있는 곳이나 위험한 곳을 알리는데 사용된다 또한 후각이 발달한 표유류에게는 텃세권을 알리는 표지가 된다항성의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있으므로, 미국은 1기당의 값은 비싸지만 100회 이상 사용하기 때문에 값싸게 먹히는 이
유인
(有人)로켓을 개발하였다 시계열 데이터를 가진 순환적 요소의 세기를 분석하고, 데이터 변동의 배후에 있는 주기성을 명확히 밝히는 해석방법 스펙트럼 해석이라고도 한다 어떤 장치나 시스템의 동작이나 ... ...
예비우주인과 팀워크가 중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배출하고 11번째로 우주과학 실험을 한 국가가 된다. 이후 고 씨는 앞으로 이뤄질
유인
우주개발사업에 직접 참여하고, 우리나라 우주개발을 짊어지고 갈 학생들에게 꿈을 심어줄 과학문화사업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씨는 ‘한국최초우주인’이라는 역사적인 의미 부여와 함께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일으키지만 칸디다나 방선균은 건강한 사람의 입 속이나 점막 등에 상재하다가 어떤
유인
이 생기면 병을 일으킨다많은 전자회로 소자가 하나의 기판 위 또는 기판 자체에 분리 불가능한 상태로 결합돼 있는 초소형의 복합적 전자소자 1958년경 우주개발과 더불어 미국공군에 의해 처음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개념이며 레빈의 장이론에는 생활공간에 작용하는 동기의 힘이
유인
을 향하는 방향과
유인
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가진 벡터에 의해 나타난다심장의 흥분에 의해 생기는 심기전력(心起電力)을 심장내의 한 점에서 나오는 공간벡터로 표시한 도형 일반적으로 정면 · 측면 · 수평면의 세 평면의 투영 ... ...
암컷 머리 속에 '수컷'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교미 자세를 취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의 케서린듀락 교수팀은 이성을
유인
하는 생화학물질인 페로몬을 조절하는 유전자 TRPC2를 제거했다니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네이처’ 온라인판 8월 5일자에 발표했다. 듀락 교수팀에 따르면 TRPC2를 제거한 암컷 쥐는 상대가 암컷이든 ... ...
최종이론의 꿈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그는 “무인으로도 충분히 가치 있는 일을 할 수 있는데 막대한 비용을 들여 추진하는
유인
계획은 극단적으로 값비싼 볼거리 스포츠에 불과하다”고 단언했다.과학혁명 일어날까가까운 장래에 우리가 또 다른 과학혁명을 기대할 수 있을까. ‘최종이론’에 지금 우리는 과연 어느 정도 다가왔을까. ... ...
심해생물 놀이터 열수분출공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바다 속에서도 장미정원을 만날 수 있을까.1977년 2월 17일 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의 심해
유인
잠수정 앨빈은 갈라파고스제도에서 북서쪽으로 약 380km 떨어진 곳에서 잠수를 시작했다. 잠수한지 1시간 30분이 지나자 수심 2700m의 바닥에 다다랐고, 잠수정에 타고 있던 과학자들의 눈앞에는 상상하지도 ... ...
식물이 '흑기사' 부르는 전략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기체 분비를 촉진한다”고 주장했다.이제까지는 식물이 곤충의 공격을 받으면 천적을
유인
하는 휘발성 기체를 대기 중에 방출한다는 사실만 확인됐을 뿐 이런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지 못했다.그런데 하일 교수팀은 여성 연구원이 식물에 다가갈 때마다 해충이 사라지는 현상을 목격하고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