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십수 년의 연구 끝에 톨 수용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수용체를 쥐의 몸속에서 찾아냈다.
외부
에서 들어온 항원의 표면에 존재하는 지질다당류(LPS·lipopolysaccharide)가 숙주세포에서 염증반응을 일으킨 것이다.그는 1983년 미국 록펠러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선천 면역반응을 주도하는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2m 이상 유지하라고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비말의 크기, 에어컨 가동 등
외부
요인에 따라 확산 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비말이 크면 금세 바닥으로 떨어지지만, 작으면 공기와 함께 널리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비말이 5μm 이하로 작으면 공기감염이 가능하다고 본다.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각종 효소의 작용으로 다당류인 녹말에서 단당류인 포도당의 형태로 잘게 부서진다.
외부
에서 섭취한 영양분이 최소 단위로 부서지면 몸을 구성하는 물질과 너무 닮아서 면역시스템의 주목을 받지 못한다. 영양분이 면역시스템의 공격을 받지 않고 몸에 저장될 수 있는 이유다. 다시 박테리아 A와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T림프구의 킬러 본능은 자신 안에서만 발휘되는 셈이다. 면역세포가 작동하려면 자신과
외부
물질을 동시에 인식해야 한다는 이들의 발견은 면역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져왔다. 도허티와 칭커나겔은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정상 세포를 구별하는 방법을 발견한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물질대사’를 하고 3 이에 따라 세포는 수를 늘리며 ‘생장’을 한다.4 이 와중에
외부
에서 어떤 변화가 있으면 그에 따라 ‘반응’을 하면서도 5 체온과 같은 신체 상태는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항상성’을 띠며 6 ‘생식’을 통해 부모 세대의 형질은 자손에게 ‘유전’된다. 7 이 과정이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외부
에서 항원이 들어왔을 때 체내에 만들어지는 항체는 한 종류가 아니다. 항원 표면에는 여러 개의 항원 결정 부위가 있어서 각각에 맞는 다양한 항체가 생긴다. 또 항원 결정 부위가 하나뿐인 항원도 여러 가지의 항체를 만들어낼 수 있다. 하나의 항원 결정 부위에 친화력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 이후 적극적으로 항체를 생산하게 만들어 감염병을 예방한다. 반면 항체치료제는
외부
에서 인위적으로 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중화항체를 주입한다. 항체치료제는 언젠가, 반드시 찾아올 바이러스에 대항할 차세대 감염병 치료제로 떠오르고 있다. 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6화. 다채로운 군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결정처럼 자연에서 볼 수 있는 결정들은 대부분 강력한 대칭 구조를 띠고 있습니다.
외부
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에서 분자들이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에요. 이처럼 3차원에서 분자가 이룰 수 있는 대칭 구조들을 모아놓은 군을 ‘공간군’이라고 합니다. 수학자는 군론을 활용해 ... ...
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들어올리기 위해서 훨씬 더 비효율적(?)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기억하자. 4.41J 정도의 일을
외부
로 하기 위해 우리는 몸에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공급해야 하고, 그에 따라 운동에 쓰이지 못하고 방출되는 열에너지가 발생한다. 역설적으로 우리 몸이 사용하는 에너지의 비효율성은 효과적인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LED) 같은 발광소자는 내부 전자의 에너지값 차이를 이용해 빛을 낸다. 전자가
외부
에서 전기나 빛에너지를 흡수해 바깥쪽 전자껍질로 이동했다가 다시 안쪽 전자껍질로 떨어질 때 에너지값 차이만큼 에너지가 방출되고 이는 빛에너지로 전환된다. 이때 빛의 색깔은 방출되는 에너지값에 따라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