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납
땜납
연의소설
소설
절
한 절
d라이브러리
"
연
"(으)로 총 1,06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이용하면 된다. 자외선 영역의 주파수를 갖는 수은 이온을 이용해 광시계를 개발하는
연
구를 프랑스 표준기관에서 이미 하고 있다.2012년 3월 미국과 호주 과학자들은 토륨이온(Th+)을 이용하면 광시계의 한계보다 10배 더 정확한 시계를 만들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 시계를 이온 핵시계(ion nuclear clock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소재로 쓸 수 있다.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꿔주는 인공근육 소재는 강하고 유
연
하면서도 전기가 잘 통해야 한다.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가 그런 특성을 가진 대표적인 소재다. 그러나 그래핀은 2차원 평면 구조로 이뤄져 섬유로 만드는 것이 쉽지 않다. 때문에 지금까지는 주로 ... ...
[7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국과수
연
구원을 직접 취재해 살아 있는 현장의 이야기가 됐다.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연
구원이 전해준 다양한 정보를 정리한 노력을 칭찬하고 싶다. 체험하고 느끼고, 현장에 다녀오고 정리하는 것. 이번 7월호에 게재된 청소년 기자의 기사가 담고 있는 힘이다 ... ...
[재미] Maths in the city, LONDON!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두 기둥 사이에 축 늘어진 사슬 모양이다. 이탈리아의 수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처음
연
구했다. 물체는 각각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있는데, 이 진동수와 외부의 진동이 만나면 물체에 작용하는 진동이 큰 폭으로 커지는 공진 현상이 나타납니다. 거센 강바람과 다리 위를 건너는 사람들의 ... ...
범인 잡는 미세증거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국과수
연
구원이 말하다국립과학수사
연
구원(이하 국과수)의 문상옥
연
구원과 김명덕
연
구원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미세증거물을 이용 해결한 사건 중에 기억에 남는 사건은 무엇인가요?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천안함 사건이에요. 천안함을 건져 올려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 ...
[시사] 눈덩이처럼 이자가 불어난다? 복리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정확하지 않다.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이자율을 따질 때는 물가도 함께 봐야 한다.
연
이율이 5%일 때 1만 원을 저축하면 1만 500원이 된다. 하지만 작년에 1만 원이던 물건이 1년 뒤 1만 1000원이 되었다면, 1년 전에 살 수 있던 물건을 이자를 받고도 살 수 없기 때문이다.이런 점을 감안해 물가를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끊어주는 수술 기법이 발전하고 있다. 먼 미래에는 우리 뇌의 잘못된
연
결이나 끊어진
연
결을 재생시킬 수 있는 유전자 치료나 줄기세포 치료 방법이 개발돼서 뇌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
미분방정식으로 미래를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알아내기 위해서는 공부도 열심히 하고 책도 많이 봐야겠죠?물을 한 잔 따라 마실 때도 자
연
의 경의를 느낀다는 민조홍 교수님. 평생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이 물의 움직임을 수학적으로 구현해 내는 것이라는 교수님의 말씀에서 꿈을 향해 나아가는 수학자의 열정이 느껴졌다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고에너지 레이저를 보유 중이며 향후 출력을 높여가며 관련 실험을 할 계획이다. 원자력
연
이 레이저를 이용한 핵융합 실험에 성공하면 자기장을 이용한 케이스타(KSTAR)와 함께 한국에서 두 개의 인공태양이 불을 밝힐 것이다 ... ...
날아라, 모스 글라이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때문에 아래쪽에 비해 공기가 더 빨리 지나간다. 그 결과 속력에 따른 기압차가 생기면서
연
을 위로 밀어 올리는 양력이 생긴다.양력의 원리를 비행기에 처음 이용한 사람은 영국의 조지 케일리다. 공기와 비행의 관계를 정리한 케일리는 1809년에 글라이더를 만들어 비행기를 띄웠다. 그 후 1897년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