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류
알코올
알콜
기술
숙련
증류주
방법
d라이브러리
"
술
"(으)로 총 836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영상유도수
술
이나 가상 수
술
은 의료영상이 뒷받침돼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제3의 의
술
(醫術)인 의료영상은 인류의 건강을 뒷받침하는 파수꾼으로 불릴 만하다. 알쏭달쏭 의료영상 콕 집어보기!병원에 가면 “CT는 찍어봐야죠”, “MRI도 해봅시다”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그런데 CT와 MRI는 ... ...
수천 년 사랑받은 영구불변의 상징 몸값 치솟는 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도구가 되기도 했다. 한편 고귀한 금속인 금을 만들려는 노력은 중세 서양에서 연금
술
(鍊金術)로 이어져 과학발전을 이끌었다.‘빛’을 뜻하는 금이 인류에게 찬란한 빛이 될지, 부끄러운 역사를 비추는 빛이 될지는 두고 봐야 할 일이다. 미다스 왕이 욕심을 부려 사랑하는 딸까지 금으로 만든 뒤 ... ...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하면서 여러 가지 기법으로 표현하거든. 날 만나고 싶으면 2008년 3월 16일까지 서울시립미
술
관에서 열리는 ‘불멸의 화가반고흐’ 전으로오렴.‘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은 과학의 눈으로 꼼꼼히 보면서 내 걸작의 비밀을 찾아 낼 거라 믿어.그럼, 난 이만 그림 속으로 돌아갈게~ ... ...
뜨아! 꿀벌 초토화 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좋아 하는 것들이니 조심하라는 닥터고글의 말에 속으로 깜짝 놀라는 양봉달씨. 다시는
술
먹고 벌통 근처에 가지 말아야겠다고 다짐한다. 사건 해결 - 말벌 공격에서 살아남기그런데 올해는 유난히 말벌이 더 극성인 것 같아요. 왜 그런 거죠?”말벌이 범인이라니 손해를 보상 받을 수도 없게 된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알고 있나요?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에 나로우주센터가 건설되었어요. 2008년엔 과학기
술
위성2호가 우리 로켓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지요. 앞으로도 우주 개발은 꾸준히 이뤄질 거예요. 지금은 러시아의 우주선으로 가지만 미래에는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유인우주선으로 우주에 갈 수 있답니다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되면 먼저이환자의 몸에서 고장난 유전자를 들어 내고 정상유전자를몸속에 넣어요. 수
술
을 받은 환자는 스스로 피를 굳게 하는 물질을 몸 안에서 만든답니다. 이러면 상처가 나도 아무 문제가 없어요. 같은 방법으로 많은 유전병을 고칠 수 있어요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먹였다고해요. 또 로마의 정치가이자 장군인 카이사르는 알프스에서가져온얼음과눈으로
술
과 우유를 차게 해서 마셨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에 석빙고의 얼음을 관원들에게 나누어 주자, 관원들이 얼음을 잘게 부수어 화채를 만들어 먹었다는 기록이 있어요. 지금의 빙수는 잘게 부순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마시는 식습관으로 보아 러시아인의 ALDH1 유전자가 잘 활성될 것”으로 추측했다. 선조의
술
습관이 후대의 게놈에 흔적을 남긴 셈이다.카레 속 커큐민 암세포 성장 유전자 제어인도인들은 먼 길을 떠날 때 상비약으로 ‘강황’을 챙긴다. 인도인들은 강황을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해 순금보다 비싼 ... ...
잘린 다리 다시 나게 하는 비밀 찾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잘린 꼬리가 다시 생긴다. 그런데 북반구 온대지방에 살고 있는 양서류인 영원은 한
술
더 떠 다리가 잘려도 새 다리가 나온다. 최근 영원의 조직 재생 메커니즘이 밝혀져 재생의학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영원은 신경계를 이루는 섬유세포, 근육, 골격 등의 세포가 줄기세포로 역분화해 다리를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게임에 중독된 청소년 8명(15~20세)과 정상 청소년 6명의 뇌를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
술
)로 찍어 비교한 결과 뇌에서 활성화되는 영역이 달랐다”고 말했다. 또 지난 6월 독일의 랄프 탈레만 박사팀이 국제저널 ‘행동신경과학’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게임 중독에 빠진 사람들은 뇌파도 정상인과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