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d라이브러리
"
수정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PRRS)에 취약한 유전자(CD163)를 찾아내 이를 변형한 DNA를
수정
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PRRS에 저항력을 가진 돼지를 만드는 데는 성공했다. doi:10.1371/journal.ppat.1006206 또 소를 위협하는 광우병의 경우에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동물생명공학연구소 연구팀이 2016년 11월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충분한 세포 소기관과 단백질, mRNA 등을 제공하기 위해서죠(과학동아 2017년 11월호 기사 ‘
수정
란은 엄마가 먹여 살린다?’ 참조). 그러나 난자의 이런 특성은 염색체 수에 이상 현상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세포는 ‘세포주기 확인점(cell cycle checkpoint)’이라는 기작을 작동시킵니다. 분열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임상적으로 확인됐다. 차의과대 연구진은 10년 전 냉동했던 정자와 난자를 이용한 인공
수정
에 모두 성공했다. 이 교수는 “크기가 작은 세포는 동결과 해동 과정에서 내외부의 온도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히 냉동 보전을 할 수 있다”면서도 “냉동인간처럼 냉동 보전하고자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1보와 2보 등 종합기사가 뜨기 전 단편적으로 나오는 뉴스는 내용이 조금씩 덧붙여지거나
수정
돼 동일한 기사로 인지되기 힘들다. 에어스는 헤드라인과 속보처럼 누구나 봐야 하는 기사는 관심분야가 아니더라도 바로 노출되도록 만들었다. 네이버 쇼핑에서도 추천의 기술이 진화하고 있다.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지상의 난자와 인공
수정
을 통해 새끼 쥐 73마리를 출생시켰다. 출산율은 지구에서의 인공
수정
과 비슷한 수준이다. 정밀 분석 결과 우주 방사선으로 인해 정자의 DNA는 손상을 입었지만 9개월간의 표류가 생식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일란성 쌍둥이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필적하는 상세한 해부학 스케치가 탄생했다. 그는 인간의 눈을 해부해 그리면서 각막과
수정
체의 기능을 연구했다. 또 인간의 척추가 곡선으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인간의 혈관을 그리면서 동맥경화증이 있는 사람의 혈관과 없는 사람의 혈관을 비교하기도 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빅독을 반으로 잘랐다. 그리고 네발로 보행하는 알고리즘을
수정
한 ‘두발 보행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연구팀은 여기에 사람 모양의 상체를 붙인 ‘펫맨(Petman)’을 개발해 방호복 테스트에 사용했다. 이후 여러 가지 업그레이드를 거쳐 201 ... ...
[식물 속 동물 찾기] 복슬복슬 꼬부랑, 다람쥐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들어 있어서 땅에 떨어지면 또 하나의 식물로 자라날 수 있지요. 따라서 다람쥐꼬리에는
수정
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기관인 꽃이 없답니다. 줄기의 맨 윗부분에도 번식을 위한 ‘막눈’이 있어요. 막눈은 원래 식물의 잎 겨드랑이에서 생기는 눈이 다른 곳에서 나는 것을 뜻해요. 다람쥐꼬리는 줄기 맨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연관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답니다. 이처럼 과학자들의 논쟁을 통해 잘못된 부분이
수정
되거나,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면서 공룡 연구는 발전하고 있어요. 학자들끼리 서로의 연구를 검증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지요. 앞으로 어떤 공룡이 새로운 이름으로 나타날지 기대해 주세요 ... ...
Part 2. 똥냄새도 전략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정충이 밑씨에 붙어 있는 채로 기다렸다가, 가을이 되어서야 열매 속에 있는 난자와 만나
수정
이 된답니다. 그 결과 가을이 되면 암나무에 은행 열매가 열려요. 초록색이던 열매가 노랗게 익으면서 과육은 점점 물렁물렁해지지요. 은행나무 특유의 똥냄새가 나는 곳이 이 과육 부분이에요. 과육에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