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금
소수
한모금
미량
소액
적은
근소
d라이브러리
"
소량
"(으)로 총 574건 검색되었습니다.
위기에 몰린 남성의 생식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태아의 수컷을 DDT에 노출시키자 난소 조직이 발육되었다. 어미 뱃속에 있는 쥐에게
소량
의 다이옥신을 넣어주자 정자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음경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짝짓기 행동이 암컷을 닮아갔다.물론 이러한 동물실험으로 유기염소가 성호르몬을 흉내내서 태아의 성장을 방해하는 ... ...
전자코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소자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런 가스센서가 제 기능을 다하려면 극
소량
의 가스나 냄새에 대해서도 충분한 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감도가 높아야 하고, 감지하려는 가스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반응해야 한다. 또 빨리 반응할 수 있도록 응답속도가 우수하면서 지속적으로 ... ...
패스파인더의 화성탐사 상상도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연한 결정이다 중추신경 흥분제 호흡 흥분제 강심제 이뇨제 등 약리작용이 있으며,
소량
으로 피로회복의 효력이 있다태양의 가장 바깥쪽 대기로 태양 반지름의 몇 배나 되는 구역에 걸쳐 희게 빛나는 부분 1백만˚K의 고온이며 수소가 주성분인데 매우 희박하다심해저에서 움푹 들어간 좁고 긴 ... ...
초콜릿에서 마약성분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anandamide)이 카나비노이드 수용체를 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물론 극히
소량
에 불과하다(초콜릿 1g에 수㎍(10-6g) 정도).과학자들은 이 물질이 ‘초콜릿 중독’ 현상과 연관되지 않겠냐고 추측했다. 하지만 과연 이 물질이 소화기관에서 파괴되거나 흡수되지 않은 채 뇌까지 도달할지에 ... ...
2. 무엇이 기억력을 향상시키나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카페인처럼 신경을 자극하는 속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쥐를 훈련시키기 전에 아주
소량
의 스트리크닌을 주입하면 쥐의 학습 속도가 더 빨라진다. 흥미로운 점은 약물을 투입하는 시간에 따라 기억 효과가 달라진다는 사실이다. 즉 훈련 후 20분 이내에 스트리크닌을 주입하지 않으면 효과가 ... ...
인간은 왜 남녀로 구분될까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대량으로 생산된다. 그러나 난자는 소기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크고 운동성이 없으며
소량
이다. 따라서 정자가 난자를 수정시킬 때에는 오로지 한가지, 즉 핵이라는 유전자로 가득찬 봉지만을 난자에게 건네준다. 그러므로 우리 몸 안의 세포 소기관과 그 안의 모든 유전자는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 ...
2. 40억년 전 비밀 캐는 끝없는 논쟁 생명의 기원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유기분자로 고정시킨다는 점을 증거로 제시했다.한편 약간의 철분을 가지면서 모래 속에
소량
으로 포함된 이산화티탄은 제한적이나마 질소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 햇빛이 비치면 적은 양의 질소가 암모니아로 변하고, 이후 아미노산과 같은 더 큰 유기분자들이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런 ... ...
원자폭탄보다 더 무서운 대인지뢰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가할 경우, 즉 발화장치를 건드릴 때 작동한다. 발화장치를 건드리면 뇌관과 보조탄약(
소량
이지만 고순도의 폭발물)에 불이 붙는다. 보조탄약이 폭발하면서 연속적으로 주탄약이 터지게 된다(그림2). 최근들어 지뢰기술은 크게 발전했다. 플라스틱 지뢰의 개발은 이 무기를 더 값싸고, 더 찾아내기 ... ...
2. 몸 곳곳을 누비는 통증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월경중간통이 있다. 이는 난포로부터 난자가 배출(배란)되는 것과 관계가 있는데, 이때
소량
의 혈액이 복강으로 새어 나오는 증상을 보인다. 난포내에 높은 농도로 들어 있던 호르몬(프로스타글란딘)이 자궁을 수축시키고 통각신경을 예민하게 만들어 이런 통증을 일으킨다고 하지만 아직 확실한 ... ...
먹는 피임약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복합돼 문제를 악화시킨다는 것이 발견됐다.따라서 피임실패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최
소량
의 프로게스틴과 에스트로겐을 함유한 약들이 개발됐다.현재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은 독일 쉐링이 개발한 마이블라(마이보라)다. 이 약에는 1970년대 발견된 게스토겐 0.075mg과 에티닐에스트라디올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