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식지
생육지
서식환경
자생지
고지
고원
산
d라이브러리
"
산지
"(으)로 총 383건 검색되었습니다.
잡목으로 우거진 빈약한 산림국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등을 고려하여 초지로 이용할 곳은 초지를 개발하여 축산진흥에 이용하고 그밖의
산지
에는 토질 기후 등을 고려하여 적어도 수입통나무에 견줄만하고 잘 자라는 수종을 골라 조림을 서두는 한편, 기왕 조림된 자원은 해마다 계획적으로 베어서 수입을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유도해야 할 것이다.또한 ... ...
국토자원의 미래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것이다. 고속전철이 전국을 1일도시권으로 묶고, 다도해 해상도시가 펼쳐지고 전국의
산지
가 레저스포츠 또는 산간 취락지로 개발된다 하여도 환경이나 생태계의 보존 없이 우리의 미래는 약속되지 않을 것이다 ... ...
인도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건조상록수림 건조낙엽수림 열대 유자관복림 등으로 임상이 바뀌며 아라발리
산지
의 서부에서는 불모의 사막이 전개된다.아열대림으로는 떡갈나무, 밤나무, 너도밤나무, 소나무 등이 있고 히말라야 산기슭에서는 야생의 올리브가 무성하다.온대림으로는 목련, 월계수, 섬나무 등의 고유종을 ... ...
'광물의 표본실' 한반도의 천연자원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영일부근에서 약간 분포한다.무연탄 역시 전국의 20%정도만이 남한에 부존하는데, 태백
산지
에 주로 매장되어 있어 소비자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게 흠이다.고갈동력자원들은 부존량이 매우 적은데 비해 수요는 급히 늘어나고 있어, 동력 자원의 확보와 원활한 공급이 장래 경제개발의 주요과제중 ... ...
금수강산을 수놓는 식물들의 세계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종이다. 진화하여 생긴 종은 사방으로 살기에 적합한 곳을 찾아 퍼져나가는데 때로는 원
산지
보다 더 많이 번창하는 수도 있다.한 종이 분포하는 범위를 분포역이라고 하는데 분포역 안에 어떤 지형적 변화 등이 생기면 서로 멀리 떨어져 나는 두 분포역이 생긴다. 이것을 격리분포라고 한다. 울릉도 ... ...
꽃은 언제 어떻게 피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핀 진달래꽃을 보고난 뒤 5월25일경에 산정 가까이에 핀 진달래를 다시 볼 수가 있다.고
산지
대에서는 기온이 낮으므로 꽃이 늦게 피기 때문이다. 서울시내에 있는 꽃나무들이 서울 교외보다도 보통 1주일 가까이 빨리 꽃피는것도 같은 이치에서이다.일반적으로 1백m씩 고도가 높아질 때마다 섭씨0.5~0. ... ...
가장 오래된 식물은 어떤 것들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으나 일본이나 대만에서는 현존하고 있다. 금무봉 식물화석
산지
에서는 샤토카울리스의 잎일지도 모르는 '오니끼옵시스'란 식물화석이 층을 이루어 나타나기도 한다.우리나라는 백악기의 퇴적층을 끝으로 신생대에 이르러서는 오랜동안 건육지 환경이 지속되다가 신제3기 ... ...
특산식물과 사라져가는 희귀식물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산닥나무는 일본까지 분포하지만 산개나리는 우리나라 특산종이다.탱자나무:중국이 원
산지
이며 남쪽에서 울타리로 심고 있다. 강화도에서 자란 것은 역사적인 유물임과 동시에 큰나무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왔다.이외에도 대청도에서 사라져가는 '대청부채'가 있고 유달산의 자란(紫蘭)도 ... ...
식용·약용으로 쓰이는 자원식물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바늘꽃과 식물로 귀화식물인데 달맞이꽃 큰달맞이꽃 등이 있다. 북아메리카가 원
산지
인 2년초로 높이가 1.5m에 달하고 굵고 곧은 뿌리가 있다.최근까지 관상자원으로만 인식돼온 달맞이꽃은 구미 각국에서 종자의 기름이 의학적으로 분석돼면서 건강식품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즉 1930년대 초에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이로부터 시베리아 전역의 석유개발이 착수되어 지금은 세계굴지의 석유·천연가스 생
산지
대가 되고있다. 천연가스를 서유럽으로 수출하기 위한 전장 2만㎞의 파이프라인 공사도 진행되고있다. 지금까지 25년동안 계속되고 있는 이 공사가 완공되면 시베리아의 깊숙한 타이가 지대에서 우랄과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