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포배양 방식은 바이러스를 원숭이나 개와 같은 동물의 세포에 감염시켜 증식시킨 뒤 분리 정제해 백신으로 만든다. 현재 소아마비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 등이 유정란 배양법 대신 동물세포 배양법으로 생산되고 있다. 세포전체 백신은 긴 개발 역사와 뛰어난 효능을 자랑하지만, 신종 ... ...
- [집콕 과학] 스포츠 음료, 집에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필요하지 않습니다. 우유와 설탕, 계란(!)이면 충분합니다. 우선 계란에서 노른자만 분리합니다. 그리고 노른자에 우유를 조금씩 첨가하며 잘 섞이도록 저어줍니다. 우유를 얼마나 넣을지는 여러분의 ‘눈’에 달려있습니다. 시판되는 바나나맛 우유와 색이 비슷해질 때까지 넣어주면 됩니다. ... ...
- [기초과학의 힘] 빛으로 이산화탄소 잡는다...인공광합성 하는 광촉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상태로 만들면 비결정상은 가시광선을 흡수하고, 남아 있는 결정상은 전자와 정공을 분리할 수 있다. 문제는 그간 50년 넘게 아나타제-루타일 이산화타이타늄을 사용해오면서도 한 상만 선택적으로 비결정화하는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온도를 높이지 않고 25도의 상온에서 특정 결정만 ... ...
- 美 9년 만에 유인 탐사 재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팰컨9이 비행 중 폭발하는 상황을 가정한 시험에서 크루 드래건은 성공적으로 분리돼 낙하산을 펼치고 대서양에 안착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우주 프로그램들이 줄줄이 미뤄지고 있지만, 크루 드래건 발사는 예정대로 강행될 분위기다. 선장 ‘헐리’는 누구 ... ...
- 2020 S/S 컬렉션, 너도 ‘에코 슈머’ 였구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생산하고 있다. 세척 후 과산화수소로 표백한 해초를 NMMO 용액에 넣어 셀룰로오스만 분리해 정제한다. NMMO 용액은 독성이 낮고 재사용이 가능하다. 품질이 낮거나 유통기한이 지나 버리는 우유도 섬유의 소재가 된다. 정확히는 우유의 3% 정도를 차지하는 단백질인 카세인(casein)이 쓰인다. 우유에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흡수해 붉은 색을 구현하는 퀀텀닷을 제작하면서 씨앗 입자를 키웠고, 이를 한 번 더 분리해서 정제했다.또 퀀텀닷 핵심물질을 다른 물질로 감싸 양자구속효과를 극대화하고, 올레산염(oleate) 리간드를 붙여 퀀텀닷의 안정성(수명)을 높였다. 결과적으로 반치폭이 35~40nm로 작은 순도 높은 색을 ... ...
- [SF에 묻는다] 공각기동대 vs. 생명창조자의 율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자신이 생명체라는 소리를 하자 외무성은 오류로 판단하고 인형사를 네트워크에서 분리해 로봇 몸으로 옮겼던 거죠. 인형사를 그대로 내버려 뒀다가는 비밀을 누설해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 있으니까요. 그러나 소멸한 줄 알았던 인형사는 쿠사나기의 뇌 속에 숨어 있었습니다. 이후 대테러 ... ...
- [한페이지 뉴스] 극저온, 진동, 마모에 강한 무인항공기 소재 개발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우레아 입자들이 미세하게 분리되면서 일어났다. 연구팀은 폴리우레탄-우레아 입자가 분리되면서 열전도가 차단돼 극한 온도에서 손상될 가능성이 적고, 입자 간 연결이 느슨해 충격이나 진동에 마모되는 정도가 적은 것으로 분석했다. 슬리오츠버그 연구원은 “폴리우레탄-우레아에 ... ...
- 코로나19의 창, 치료제...항바이러스제가 끌고 항체치료제가 쫓고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서로 다르다. 셀트리온은 완치자의 혈액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결합하는 특정 항체를 분리한 뒤 치료 효과가 있는 항체를 선별해 사용한다. 반면 GC녹십자는 혈청 전체를 사용한다. 이 경우 후보물질을 별도로 선별하지 않아 개발 기간이 짧다. 대신 혈청을 제공하는 완치자가 누구냐에 따라 혈청 ... ...
- 제임스웹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때는 폴더블폰처럼 거울 한쪽 끝(정육각형 거울 3개)을 접었다가 우주로 나가 로켓에서 분리되면 접었던 부분을 펼친다. 거울을 다 펼치면 지름이 6.5m로 허블의 약 3배다. 집광 면적은 25m²에 이른다. 지금까지 개발된 우주망원경 중 가장 크다. 그만큼 희미한 빛도 잘 포착할 수 있다. 허블이 빅뱅 후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