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부"(으)로 총 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인공신경망 번역 수학이 다 알아서 한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여러 가지 언어를 자유자재로 번역하는 인공지능의 눈에는 언어가 어떻게 보일까?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인공신경망 번역은 단어나 문장을 공간 속의 점으로 인식한다. 인공신경망의 눈에는 언어가 우주 공간 속 별무리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이런 수학적인 공간이 어떻게 다시 우리가 원하는 언 ... ...
-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여러 인공신경망 번역기 중에서도 구글 번역은 특별하다. 새로운 언어를 추가해도 따로 알고리즘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구글은 알고리즘 하나에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 8개 언어를 모두 학습시켰다. 이를 ‘다중언어모델’이라 한다.이쯤에서 구글 개발팀은 궁금한 게 생겼다. 번역 알고리즘 하 ... ...
- 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대화한다. 바벨피쉬는 난생 처음 듣는 외계어도 통역한다. 황영숙 SKPlanet 데이터분석본부 매니저는 “지금 바벨피쉬는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처음 듣는 언어라면 학습데이터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인공신경망은 소량이라도 학습데이터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Intro. 시간의 기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안녕! 나는 이상한 나라의 시계 토끼야. 1월 1일을 맞아 열리는 모자장수의 티파티에 늦지 않으려고 시계를 봤는데…. 으악!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어! 여길 봐! 내 시계에 1초가 늘어난 거 보이니? 내 시계가 고장난 걸까? 도대체 이게 무슨 일이야~!▼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시간의 기준 ...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내 손목 위의 태양계 시계시계 바늘은 없고 동그란 보석들이 빙글빙글 돌아가고 있는 이 시계는 프랑스에서 만든 ‘태양계 시’다. 가운데 황금색 태양을 중심으로 수성 88일, 금성 225일, 지구 365일, 화성 687일, 목성 12년, 토성 29년의 공전주기에 따라 돌면서 태양계 행성들이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 ...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공기 좋고 네온사인 없는 한적한 곳으로 여행을 가면 누릴 수 있는 특권이 있다. 밤하늘의 별이다. 도시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별이 쏟아져 내릴 듯이 많다. 아마추어 사진가, 전문 사진가 모두 너나 할 거 없이 그 장관을 찍기 위해 천문대에서 밤을 지새우는 이유다. 그런데 카메라가 없다면 이 아름 ... ...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지구와 표준시계의 차이, 윤초를 만들다!윤초는 하루 24시간에 1초를 더하는 걸 말해요. 1초를 더하는 이유는 전세계가 기준으로 삼고 있는 시간과 지구가 한 바퀴 도는 시간, 즉 자전주기 사이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랍니다.사실 지구의 자전주기는 일정하지 않아요. 바다나 지구 속 마그마 등의 영향 ...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과학자들은 우주를 더 깊이 들여다보기 위해 지금도 열심히 연구 중이다.그리고 목 빠지게 기다리고 있는 게 있다. 바로 차세대 망원경의 완성이다. 지금보다 더 커지고 좋은 능을 가진 망원경이 지상과 우주에서 활약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도 올 하반기에 새로운 우주망원경을 우주로 보낼 계획이 ... ...
- [포커스 뉴스] 급격하게 퍼지는 AI 공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롯데마트와 하나로마트 등 대형마트에서 달걀 가격을 10% 이상 올린 데 이어 1인당 한 판만 구매하도록 제한하면서 ‘달걀 품귀현상’이 일어났다. 지난해 11월 ... 뒤 일주일 이내에 발열이나 기침, 인후통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전화번호 1339)로 알려야 한다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우리가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는 지표는 전체 지구표면의 약 30%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는 끊임없이 출렁이며 인간의 도전을 유혹하는 검푸른 바다로 덮여있다. 바다 밑 지표는 어떤 모양이고 어떤 물질로 돼 있을까. 태고의 비밀은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우리나라(K-IODP)와 2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