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복제"(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머리에 인공지능, 가슴엔 분자엔진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두 책 모두 비판할 대목은 있다. 당장 이 책을 교본 삼아 의식을 백업하거나 유전자처럼 복제하는 단백질 기계를 만들 수는 없다. 방법을 제시하는 책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측할 수 없는 부작용은 더 근본적인 문제다. 드렉슬러조차 “나노 기술과 인공지능은 파괴적인 최악의 도구를 출현시킬 수도 ...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노력했다. 결국 음반사들은 실패를 겪고 다시 애플에 눈을 돌렸다. 스티브 잡스는 불법 복제는 합리적인 인터넷 서비스가 없기 때문에 생긴다며 애플과 협력해 달라고 부탁했다.잡스가 처음부터 모든 협상에 참가했던 것은 아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아무리 지지부진한 협상도 스티브 잡스가 ... ...
- Part 3. 합성생물, 차세대 게놈 클럽 주인공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여기에 염기를 하나씩 붙여 만든 합성게놈을 넣는다. 이 두 가지만 있으면 원세포는 DNA 복제와 번식 같은 최소한의 생명활동에 필요한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이 과정 중에 DNA 염기서열에 돌연변이가 일어날 수도 한다. 원세포는 생명의 기원과 함께 진화 과정 연구에 이용할 수 있다.우리나라도 ...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멈춰 줄기세포를 얻지는 못했다. 그런데 2004년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인간복제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했다는 논문을 ‘사이언스’에 발표하면서 전 세계를 경악시켰다.그러나 2005년 말 연구조작 의혹이 일어나고 얼마 뒤 진상이 밝혀지면서 우리나라는 최악의 과학스캔들에 시달렸고 ...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과학동아 l2011년 08호
- 과정과 이와 관련된 주요 실험 및 개념까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또 DNA의 구조 및 복제 과정, DNA의 유전 암호와 같은 분자생물학 분야와, 제한효소와 리가아제의 발견에 의한 재조합 DNA의 합성, 유전자 치료와 같은 생명공학 분야를 깊게 다룬다. 이뿐 아니라 과학의 상업화, 특허 전쟁, 기술 ...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구성성분인 질소나 인을 제대로 공급해주지 않으면(즉 영양 스트레스를 주면) 게놈 복제를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세포분열이 억제된다. 그 결과 광합성으로 축적된 유기물이 지방으로 전환 돼 세포내에 쌓이게 된다.실제로 양 단장팀이 나노크로리스(Nanno chloris)라는 해양 미세조류로 실험한 ...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과학동아 l2011년 08호
- 감염이 되면 본격적으로 증식을 위한 과정들이 일어나게 된다. 바이러스 게놈이 복제되는 과정이 핵심인데 이때 증식을 위한 특정 단백질들이 합성도 일어난다. 바이러스는 게놈의 유형(핵산의 종류와 단일가닥과 이중가닥 등의 형태) 및 mRNA와의 상관관계(mRNA 서열을 양성(+)가닥으로 하여 이와 ... ...
- “돼지각막 2, 3년 뒤 영장류에 이식”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자궁에 착상시켜 임신시키는 일은 황 연구사가 맡았다. 이런 방식으로 거부 반응이 없는 복제미니돼지가 태어난다. 요즘 연구 성과가 빨리 나오는 이유를 물었더니 두 사람은 모두 “멋진 파트너를 만났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성공의 열쇠는 신뢰“이 친구(오 연구사)가 생각보다 빨리 사람 ...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때문에 우리 몸의 세포를 파괴하거나 변형시킬 수 있어. 만약 변형된 세포가 계속 복제되면 몸에 암이나 불치병이 생길 수 있지. 3월 16일 오후 3시 50분에 일본 원자력 발전소에서 확인된 방사성 물질은 자연 상태보다 6600배나 많은 양이어서 주변 30㎞ 안에 사는 사람들이 모두 대피했단다. 방사선에 ...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지난 5년 간 줄기세포 분야에서 스포트라이트를 한 몸에 받고 있다. 사실 복제배아줄기세포 연구가 사라진 이유도 유도만능줄기세포의 등장 때문이다.그런데 당장 맞춤형 줄기세포치료 시대를 열 줄 알았던 유도만능줄기세포가 생각보다 갈 길이 멀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