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d라이브러리
"
변이
"(으)로 총 628건 검색되었습니다.
AI 치료제에 내성 갖는 AI 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환자의 몸에서 추출한 H5N1 바이러스의 표면 당단백질에서 타미플루에 내성을 갖는
변이
를 발견했다고 ‘네이처’ 5월 1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베트남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AI 환자로부터 분리해낸 H5N1 바이러스의 N1단백질에 X선을 쪼여 입체구조를 분석했다.AI 바이러스의 외피에는 ... ...
조류인플루엔자 10문10답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수시로 바꾸기 때문에 AI바이러스의 변종형은 아주 많다. 예를들어 H5N1 유형도 돌연
변이
를 일으키면 다양한 변종이 존재할 수 있다. AI를 약으로 쉽게 다스릴 수 없는 이유도 H와 N이라는 항원이 수시로 몸을 바꿔 약의 그물에서 요리조리 빠져나가기 때문이다.현재 시판되는 AI 치료제는 스위스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암환자의 절반 이상이 p53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발병하는데, 조 단장은 p53 단백질에서
변이
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아미노산의 구조를 분자수준으로 밝혔다. 미국 코넬대 유학시절의 일이다.집의 설계도만 봐도 가정집인지 카페인지 알 수 있는 것처럼 단백질의 구조를 알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 수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특히 선형(線形) 되먹임(폐루프) 제어를 할 때는 입력과 출력의 비 및 위상
변이
(位相變移)가 제어계의 가장 효율적인 조작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질산구아니딘을 진한 황산으로 탈수시켜 얻는 구아니딘의 니트로화합물 트리니트로툴루엔(TNT)에 버금가는 폭발력을 갖고 있으나 매우 둔감하여 작약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체색은 등이 청록색, 배는 은색으로 일정한 데 비해 난류성 어류는 빛깔의
변이
가 심해 청색 · 황색 · 녹색 · 적색 · 등색을 띠며 줄무늬 · 반문(班紋)이 있다 C F 바이츠제커가 1943년에 제창한 태양계 기원설 태양 부근의 기체의 난류를 수학적으로 해석하고 그 소용돌이에 의해 우주진(宇宙塵)이 ... ...
돌연
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연구를 해 논문이 나온 것을 보면 마음이 뿌듯하지요.”그동안의 연구결과가 축적되면서
변이
생쥐를 토대로 역할이 규명된 유전자들 사이의 관계가 하나둘 밝혀지고 있다. 그 결과 시상과 대뇌피질을 연결하는 신경망 회로가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앞으로 연구가 축적돼 뇌의 의식 작용 조절 ... ...
기상 퀘스트를 달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칼, 풀, 셀로판테이프(또는 양면테이프), 침핀바람의 세기는? 풍속계❶ 3㎜ 우드락을 한
변이
14㎝인 정삼각형으로 자른다.❷ 셀로판테이프를 둥글게 말거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정삼각형 꼭지점에 종이컵을 한 방향으로 붙인다.❸ 정삼각형 중앙에 침핀으로 수수깡을 꼽는다.❹ 6㎜ 우드락에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예를들면
변이
를 일으키는 물질에 민감한 고초균(枯草菌)이라는 생물을 이용하여 돌연
변이
물질이나 발암성 물질 등을 검사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바이오센서는 의료 발효공업 식품공업 등에 폭넓게 이용될 전망이다 이것의 메커니즘은 효소 또는 미생물을 얇은 막 등에 고정시켜, 이에 전극을 ... ...
우주 갔다 돌아올 '판타스틱 씨앗'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일 우리 우주인이 ISS에서 모든 임무를 마친 뒤 갖고 돌아오면 바로 파종해 씨앗의 생장과
변이
를 관찰한다.학생들을 위한 교육용 실험도 있다. 가져간 씨앗 가운데 초기 생장이 빠른 콩과 무를 ISS에서 직접 싹을 틔운다. 특수 제작된 ‘우주새싹배양기’에서 씨앗의 싹을 틔워 뿌리와 줄기가 자라는 ... ...
머리카락 굵기도 유전자가 결정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후지모토 교수는 “가장 두꺼운 머리카락을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들보다 EDAR 유전자가
변이
된 정도가 컸다”며 “EDAR 유전자가 머리카락의 두께를 결정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논문의 공동저자인 토카이의대 료스케 키무라 교수는 “고대인의 유골을 발굴했을 때 그가 어떤 인종인지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