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머리카락"(으)로 총 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4000년 전 그린란드인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잘 감염되는 체질임을 알려 주는 마른 귀지를 갖고 있다는 것도 알아 냈습니다.숱이 많은 머리카락이라고 했는데, 이마가 너무 넓으시네요. 대머리가 되지 않게 조심하셔야겠어요.헉! 벌써 눈치챈 건가요? 제 게놈에 제가 앞으로 대머리가 될 거라는 정보까지도 들어 있다고 해요. 게놈으로 대머리가 ...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고려대 물리학과 박홍규 교수는 광결정과 나노선을 사용해 레이저를 만든다. 나노선은 머리카락을 1만 분의 1로 쪼갠 수준인 수nm(나노미터, 1nm=10-9m) 굵기의 가느다란 전선인데, 반도체 물질로 이뤄져 있어 전류를 흘리면 빛을 낸다. 빛을 이동시키는 전선이 곧 광원이 되는 셈이다. 또 광결정은 특정 ...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수학동아 l2010년 05호
- 1가닥의 크기가 0.1밀리미터라고 하니 1나노 크기의 물질을 10만 개나 늘어놓아야 머리카락 1가닥 크기가 된다. 나노가 얼마나 작은지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다 ... ...
- 귀는 속여도 코는 못 속인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인식에서 홍채는 안경이나 눈꺼풀에 가리거나 점안액을 넣으면 식별하기 힘들고, 귀는 머리카락에 가리면 구별하기 어렵다”며 “코는 다른 부위에 비해 가려지는 경우가 드물어 신원을 파악하는 데 요긴하다”고 설명했다.실제로 코 식별 프로그램을 홍채나 지문 인식 장치와 함께 사용하면 신원 ...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난처했다. 원인을 조사해 보니 핵심 부품인 지름 2.4m짜리 반사경에 문제가 있었다. 머리카락 두께의 50분의 1 정도를 잘못 가공한 것이다. 결국 반사경의 초점에 빛이 모이지 않아 또렷한 상이 맺히지 않았다. 반사경의 정밀도는 허블우주망원경의 한계를 결정하는 핵심요인이기 때문이다.“반사경을 ... ...
- 동전 크기만 한 담수화 장치 개발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다닐 만한 크기로 작게 만들기 어려웠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한종윤 교수팀은 최근 머리카락 굵기보다 가는 파이프와 탈염 장치가 들어 있는 손안에 ‘쏘옥’ 들어가는 크기의 탈염 장치(사진)를 최초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장치는 동전 위에 올려놓을 만큼 충분히 작고 컵 하나에 물을 ... ...
- 이중 암호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두피에 기밀 문서를 쓰고 노예의 머리카락이 자란 뒤에 보내면, 받는 측에서 노예의 머리카락을 깎고 메시지를 읽도록 한 것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고대에는 군주가 보내는 비밀 문서, 전쟁 중의 작전지시와 보고, 첩자들과의 통신 등에 다양한 스테가노그래피가 사용됐다. 고대 로마인들은 ... ...
- 거미줄에 맺힌 물방울의 비밀수학동아 l2010년 03호
- 머리카락 두께의 100분의 1에 불과한 거미줄에 어떻게 물방울이 방울져 매달려 있을까요? 그 비밀이 풀렸습니다.중국의 과학자들은 ‘유럽응달거미’의 거미줄을 분석한 결과 거미줄이 물에 젖으면 구조가 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거미줄이 물에 젖으면 일정한 간격으로 거미줄 가닥의 ... ...
- 새 계획은 왜 항상 작심삼일일까과학동아 l2010년 03호
- 행동이 매우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이 주장을 뒷받침했다.이 연구 결과는 키나 머리카락 색깔이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처럼 성격의 상당 부분도 이미 정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우리는 ‘빅 파이브(big five: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신경증 성향)’라 불리는 기본적인 성격 ... ...
- 번개실험으로 살펴보는 정전기 방전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내려올 때 미끄럼틀과 옷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가 머리카락으로 이동하면서 머리카락이 정전기적 척력에 의해 쭈뼛 서게 되는 현상이다.전기는 움직이지 않는 정(靜)전기와 움직이는 동(動)전기로 나눈다. 정전기는 말 그대로 멈춰 있어 움직이지 않는 전기이고, 동전기는 우리가 ‘전기’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