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당장에"(으)로 총 1,20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예순 아홉. 일흔. 아, 더 없나? 이러면 안되는데….”3월 9일 광화문 포시즌스호텔 6층.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결이 펼쳐지는 대국실과 복도 하나를 사이에 두고 마주한 기자실에 모인 수백 명의 기자들이 웅성거렸다. 해설을 맡은 김성룡 9단은 바둑판의 집을 세고는 이마에 손을 가져다 대며 혼 ... ...
- Intro. 플라스마 엔지니어링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고체도 액체도 기체도 아닌 제4의 물질. 우주의 99.99%를 채우고 있지만 우리에겐 낯선 것. 때론 액체질소보다 차갑고, 때론 태양보다 뜨거운 그것을 보고 싶다면 지금 당장 형광등을 켜라. ‘반짝’ 그 존재를 드러낼 것이다. 플라스마는 태양계 밖 먼 우주에 있는 동시에 내 방과 내 작은 스마트폰 안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1975년부터 1979년까지, 불과 4년 만에 100만 명이 넘는 캄보디아인들이 숨졌다. ‘킬링필드’라고 불리는 끔찍한 학살은 30여 년 전에 끝났지만, 남겨진 상처는 아직 캄보디아 사회 전체에 남아있다. 특히 과학자들의 피해가 커, 캄보디아의 과학은 아직까지 불모지나 다름없다.이곳에 과학의 싹을 틔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그는 모든 어른들과 마찬가지로, 소금보다 먼저 태어났다. 학교는 주거구역 한가운데에 있었다. 야트막한 언덕 위, 집들이 내려다 보이는 곳. 광산이 보이지는 않지만 광산의 소리와 진동은 느껴지는 곳.소금은 다른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그를 일곱 살 때 만났다. 그가 코쇠1에 살기 시작한 지는 이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애완동물 통역사 ‘ 도그 마리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당장 ‘도그 마리야’의 연구실을 찾아간 썰렁홈즈. 그런데 문을 열자마자 온갖 식물들이 마구 엉켜 있는 미로정원이 나타나는 게 아닌가! 이 정원을 어떻게 지나나 고민하던 그때! 비둘기가 날아와 썰렁홈즈에게 도그 마리야의 편지를 건네 주었다.‘여기 미로정원의 지도가 있다. 그런데 이걸 어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1996년 필자는 물리학을 전공으로 선택했다. “우주의 모든 입자의 위치와 속도를 안다면 우주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라플라스의 악마처럼 뉴턴 역학은 만물의 이치를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았고, 해밀턴역학은 만물이 철학적으로 움직인다는 인상을 줬다. 필자는 여기에 매료됐다. 그러나 이 ...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동그라미가 빼곡히 들어차있는 그림, 뾰족한 바늘 끝. 이것들이 당장 누군가를 해치는 것도 아닌데 어떤 사람들은 극심한 공포를 느낀다. 고소공포증, 선단공포증, 환공포증 등 흔히 생각하는 공포증은 ‘특정공포증(specific phobia)’이라 불린다. 하도 많다보니 공포증이 흔한 것 같지만 우리나라에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번 발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전에, 중력과 중력파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모두가 알고 있는 것처럼, 우리는 매순간 중력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17세기에 아이작 뉴턴이 발표한 만유인력의 법칙은 중력에 관한 첫 번째 이론이다. 두 물체사이에서 서로를 잡아당기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송준섭(이하 준) 바둑을 이야기하려고 모였는데, 바둑 실력은 어떤가.한보형, 김기응(이하 한, 김) 까막눈이다. (웃음)감동근(이하 감) 바둑을 좋아해서 최근까지도 바둑을 계속 공부하고 있다. 급수로는 ‘아마 5단’이다.알파고를 백만 번 꺾은 최종병기 알파고준 알파고에 대한 프로 기사들의 평가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한국인의 밥상은 발효식품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다. 대표적인 것이 김치, 그리고 각종 장류다. 한국의 장은 주로 메주를 이용해 만드는데 된장, 고추장, 그리고 간장을 생각하면 된다. 보통 간장의 맛은 된장이나 고추장에 비해 폄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간장의 맛은 생각보다 훨씬 오묘하고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