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
편
당나라
패
동아리
사회
팀
d라이브러리
"
당
"(으)로 총 1,09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400μg/m³★ 이상으로 2시간 넘게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될 때 내린다. 황사 경보는 시간
당
평균 흙먼지의 농도가 800μg/m³ 이상으로 2시간 넘게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될 때 내린다. 황사에 대비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확한 예측이 중요하다. 이때 우리는 수학을 활용한다.먼저 중국 ... ...
2015 지구사랑탐사대 모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학교나 환경 동아리 등에서 신청할 때도 단체 팀을 꾸려 주시면 됩니다.1~2기 활동
당
시 여러 가족이 모여서 한 팀으로 활동하셨던 분들이 스태프로 지원하실 경우에도 기준은 마찬가지입니다. 3기에는 참여 가족마다 각각 다른 팀으로 신청해 주세요3 어떤 것들을 탐사하나요?4월 중순 발대식을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입에 대도 안전한 친환경 소재로 교구를 만드는 것이다. “현재 팔리는 3D 프린터는 해
당
업체에서 판매하는 소재만 출력할 수 있어요. 찍고 싶은 소재와 그걸 출력할 프린터를 함께 개발하고 있습니다.”마침 누군가 문을 노크했다. 함께 연구 중인 이헌주 박사였다. “아주 잘 작동합니다. 사용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수소차에 딱! 저렴한 탄소촉매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수소차, 아직은 ‘그림의 떡’“현재 사용하는 수소연료전지로는 가격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습니다. 백금 촉매를 사용해야 하는데 너무 비싸거든요. 백금을 대신 ... 대체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기술”이라며 “새로운 촉매로 연료전지 시대를 앞
당
기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책임연구원은 “세계에서 가장 앞선 프랑스 회사 아레바도 제염액 1000L
당
이온교환수지가 30L 정도는 나온다”면서 “우리는 20L로 줄이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원자력연구원에서는 욕실에서 쓰는 곰팡이제거제처럼 거품 형태로 제염액을 만드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표면적을 수십 배 넓힐 수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당
함량을 더 높였다. 이전까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 나가던 감자칩과 비교했을 때
당
은 물론 지방과 나트륨이 더 많다. 물론 구할 수 있어야 주의할 수도 있겠지만. 컴퓨터가 만든 성형 미인 프링글스감자를 통으로 써는 생감자칩과 달리 프링글스는 감자를 으깨 반죽한 뒤 모양을 만드는 ... ...
[Knowledge] 최정의 86억은 거품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순위와 WAR 순위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그 뒤 두 값을 일대일로 짝지으면 WAR 값 1에 해
당
되는 연봉 값이 약 1억9000만 원이 된다. 국내 프로야구에서 1승을 하기 위해서는 1억9000만 원을 투자해야 한다.FA 적정가 = 과거 활약 보상 + 미래 기대치메이저리그는 이 방식으로 FA 선수의 적정가를 유추한다.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시작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
당
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 ...
[교과연계수업] 도시에는 왜 고양이가 많을까? 도시생태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살고 있는 길고양이 수는 약 25만 마리래. 서울시 인구가 약 1000만 명이니, 4인 가족 하나
당
고양이 1마리가 살고 있는 셈이지. 수가 늘어난 탓에 아무래도 사람들과의 마찰이 생길 수밖에 없어. 길고양이는 먹을 것을 찾아 쓰레기 봉투를 뜯어 위생 문제를 일으키거나, 발정기에 밤마다 소리를 ... ...
[과학뉴스]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단맛의 천적인 쓴맛을 억제해 단맛을 더 달게 해주는 것이다. 잊지 말아야할 것은 ‘적
당
한’ 양의 짠맛이다. 지나치게 많은 소금은 오히려 혀에 있는 쓴맛 수용체를 활성화해 이번엔 쓴맛을 더 쓰게 하고 단맛을 떨어뜨린다. 허니버터칩은 짠맛의 황금비를 찾아낸 데 두 번째 성공 비결이 있다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