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징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속성
d라이브러리
"
특성
"(으)로 총 3,270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09
예견한다. 마찬가지로 역학 연구자들은 감염병이 발생한 장소를 표시해 병의 전파
특성
을 파악하거나 예방한다. 1855년 영국의 의사 존 스노우가 만든 이 지도는 런던 도심지 지도에 1854년 콜레라 창궐지를 표시하고 있다. 이 지도는 발병지가 어디이며 어떤 경로로 퍼지는지 짐작하는 데 큰 도움을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
과학동아
l
201409
방학의 대학은 적막하다. 사람으로 가득 붐비던 캠퍼스는 고요해진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분명 다음 학기를 준비하는 학생이 있다. 기자가 방문한 지스트대학도 그랬다. 적지 않은 학생들이 무더운 여름 날씨보다 더 뜨겁게 강의실을 불태우고 있었다.칼텍 롭 필립스 교수에게 생물학을 배운다여 ... ...
전기모터로 3초만에 시속 100km
과학동아
l
201409
E를 홍보하기 위해 여러 이벤트를 고려하고 있다. 그 중 ‘Fan Boost’는 전기자동차의
특성
을 잘 활용한 이벤트다. 관객의 표를 가장 많이 얻은 드라이버 3명은 전기모터의 제한된 출력을 뛰어넘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는데, 마치 비디오 게임처럼 경쟁 차량을 한번에 제칠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09
중성자성과 같은 별의 잔재 주위를 회전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즉 질량이나 여러
특성
이 아무리 행성과 비슷해도 홀로 우주를 떠돈다면 진짜 행성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행성’은 별 옆에 있어야 한다.별이 주위에 행성을 가질 확률은 수소나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인 중원소 함량과 ... ...
5억 년 전 ‘지네 동물’, 뒤늦게 족보 찾다
과학동아
l
201409
물질이 쌓여서 이뤄져 있다. 이는 현생 동물 중 유조동물의 턱 외골격과 같은
특성
이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이 동물이 유조동물과 공통 조상을 갖는 친척이고, 절지동물과는 거리가 멀다고 결론지었다. 할루키게니아는 5억 년만에 ‘족보’를 찾은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8월 1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
수학동아
l
201408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향숙 이화여대 수학과 교수는 “수학을 잘하면 학문의
특성
상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힘이 강화되고 적용 능력과 상상력도 풍부해진다”며, “자신이 맡은 분야에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고 주어진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는 중요한 장점이 돼 다양한 직업에서 수학 능력이 ... ...
양자냐 아니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408
연구 결과, 디-웨이브는 일반 컴퓨터와 속도 변화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양자컴퓨터의
특성
이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이 연구에 대해 전문가들은 다양한 의견을 보였다. 구글의 기술부장인 하르트멋 네벤은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문제가 너무 쉬웠다”며 “제대로 된 검증이 아니었다”고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408
주장하는 캐나다 ‘D-WAVE’사의 컴퓨터. 그러나 진짜 양자컴퓨터가 아니라 일부
특성
을 활용한 시뮬레이터라는 게 전문가들의 추측이다. 최근 관련한 논란이 ‘사이언스’에서 제기됐다 (과학뉴스 참조). 반도체에는 여러 방식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방식은 반도체 안의 전자를 고립시켜 스핀을 ... ...
‘잘 늙고 잘 죽는’ 웰에이징 메카 꿈꾼다
과학동아
l
201408
식물 노화분야의 석학 남홍길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왼쪽 네번째).] 가장 젊은 이공계
특성
화 대학발빠른 행보도 눈에 띈다. DGIST는 지난 6월 세계적인 차세대유전체(게놈)분석연구소이자 생명정보기업인 ㈜테라젠이텍스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테라젠이텍스는 세계 최초로 여성의 개인 게놈을 ... ...
야구공 뇌는 어떻게 칠까?
과학동아
l
201408
판정할 수밖에 없죠. 이건 심판의 능력 문제가 아니라, 사람의 시각이 원래 이런
특성
을 보이기 때문이에요.Y 심판도 사람이군요.K 재밌는 것은, 심판조차 자신도 모르게 개인적인 선호를 판단에 개입시킨다는 거예요. 이상훈 교수가 뉴욕 양키스의 유명한 타자 데릭 지터 선수와 다른 선수를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