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료
필업
학위 취득
졸업식
수여식
d라이브러리
"
졸업
"(으)로 총 1,33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12
교수가 토론이나 논쟁을 할 수 있어요. 저와 집요한 논쟁을 하는 학생이 나타나면 ‘아,
졸업
할 때가 됐구나’하고 생각한답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황 교수팀은 이미 KSTAR에 많은 공헌을 했다. KSTAR는 올해 10월 이뤄진 3차 실험에서 초전도 토카막 장비로는 세계 최초로 중성자를 검출하는데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12
연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협동할 수 있는 성격이어야 한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대학원에서는 학부과정에서 배운 기초를 바탕으로 심층적인 실험을 수행한다. 따라서 학부과정에서 기초를 탄탄히 해야 한다. 물리학, 고전역학, 전자기학과 같은 과목을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11
과거에도 있었다. 바로 1989년 유학길에 오를 때다. 당시 이 교수는 서울대 공대를 수석
졸업
하고 가장 인기가 높은 공학 분야 중 하나인 회로설계로 석사학위까지 받은 상태였다. 한 마디로 미래가 보장된 상태였다.하지만 이 교수는 익숙한 회로설계 대신 낯선 광학 분야를 공부하기로 결심했다.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11
돼서 봉사단을 꾸리고 6개월 후부터는 2기를 뽑도록 해. 그렇게 봉사단을 잘 운영하면
졸업
할 때쯤에는 많은 후배들이 함께 하겠지. 그러면 리더십에도 큰 도움이 될 거야.” L학생은 아버지의 도움을 받아 관련 연구기관이나 학자들과 교류의 폭을 더 넓힐 수 있는 유리한 환경에 있다. 그런 기반을 ... ...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11
보자.우리는 직선을 똑바로 그은 선으로 알고 있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학교를
졸업
할 때까지 책에 나오는 직선은 항상 똑바로 그은 선이고, 곡선은 구부러져 있기 때문이다. 학교에서 배운 대로 직선을 생각한다면, 책상과 같이 평평한 평면 위가 아닌 땅 위에 그린 직선을 정말 직선이라고 ... ...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
수학동아
l
201011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과목을 공부한다. 중등학교 4년 동안 30개의 과목만 이수하면
졸업
할 수 있기 때문에 1학기에 보통 4과목을 배운다. 필수로 들어야 하는 과목이 있는데 수학은 3과목이 포함돼 있다. 수학이나 과학 쪽으로 진학할 학생은 수학을 2과목 정도 더 선택해서 듣는다.캐나다에서는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11
펜 교수는 이 공로로 함께 2002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다나카의 경우 당시 대학만
졸업
한 학사 출신의 회사원이 노벨상을 받았다고 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다나카가 개발한 방법이 바로 ‘말디’다. 말디는 매트릭스상 레이저 탈리 이온화(Matrix-Assisted LaserDesorption Ionization)의 약어다. 얇게 뜬 조직 .. ...
탄탄한 기초가 가져온 빛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11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최선을 다해 활동하고 있다. 김휘 서울대 전기공학부를
졸업
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전자 책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고려대 세종캠퍼스 전자및정보공학과에 조교수로 있다 ... ...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11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광학은 여러 분야에서 기반기술로 요긴하게 쓰이기 때문에
졸업
생들은 LCD나 데이터 스토리지, 반도체 분야 등에 취업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공정을 잘 이해하고 수치해석도 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관련 분야의 전망이 밝다. 취재 한마디 서울대 전기공학부 2학년에 재학 ... ...
유비쿼터스 시대, 우리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010
사명감을 갖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 오준학 서울대 공업화학과(현 화학생물공학부)를
졸업
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및 미국 스탠퍼드대 박사후연구원을 보내고 현재 울산과학기술대 나노생명화학공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