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라
국민
민족
겨레
세상
정치적 통일체
공화국
d라이브러리
"
국가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
수학동아
l
201406
인터넷에 있는 상황에서 열정적인 아마추어라면 뭐든 만들 수 있어요. 만드는 주체가
국가
나 기관에서 열정적인 개인으로 바뀌는 세상이 곧 올 거예요. 여러분도 다양하고 즐거운 일들을 만들어 볼 수 있길 바랄게요. 열정적인 아마추어가 되세요 ... ...
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
과학동아
l
201406
사용해 독일월드컵의 승패를 예측한 결과 우승국 이탈리아를 비롯해 8강 진출국 중 6
국가
를 맞혔다. 하지만 과연 올해도 맞을지는 아무도 모른다.이번 월드컵에 관한 수많은 예측들도 여지없이 빗나갈 것이다. 31.71% 따위의 숫자에 아랑곳하지 않고 신나게 대한민국을 응원해보자. 우리에게는 홍명보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
과학동아
l
201406
]중세 기도문에 가려진 아르키메데스의 ‘방법’아르키메데스는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
‘시라쿠사’에서 천문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젊은 시절 알렉산드리아에서 공부했고 시라쿠사로 돌아와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발명을 하다가 생을 마쳤다. 아르키메데스가 남긴 연구물 중 특히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과학동아
l
201406
과정에서 오히려 상처가 커지기도 했다.③ 2004년 겨울 쓰나미가 스리랑카 등 인도양 연안
국가
들을 휩쓸며 수많은 이재민을 만들어냈다.숱한 전쟁의 역사 속에서, 스리랑카 사람들은 그들의 정신건강 을 개인의 심리 치료보다는 종교와 끈끈한 공동체에 의존하고 있 었지요. 물론 이러한 문화적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06
바꿀 수도 있다고. 너희는 이런 거 못하지?인공번개와 녹색 피부, 과학기술로 만든다일부
국가
에서는 말레피센트처럼 인공번개를 무기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에 힘쓰고 있다. 바로 번개를 일으키는 레이저 광선을 발사해 표적을 파괴하는 장치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이 장치를 ‘레이저 유도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
과학동아
l
201406
국가
항공시스템을 방해하고 시민의 주거지를 무단 침범한다는 이유였다. 하지만 3월 7일
국가
운수안전위원회(NTSB)가 ‘FAA가 드론 사용을 금지할 권한이 없다’고 판정하면서 드론 꽃배달 서비스가 다시 시작됐다. FAA는 현재 연방법원에 항소한 상태다.물론 국내외 사정이 같지는 않다. 미국은 땅이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
과학동아
l
201406
반응인데 이상 반응으로 여기거나 이상 반응인데 모르고 지나가는 실수가 일어난다.
국가
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KMPC) 단장인 성제경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는 “정상인 줄 알고 넘어갔는데, 쥐의 일생에 걸쳐서 관찰해보면 이상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며 “유전자의 숨겨진 기능을 발견하는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
과학동아
l
201405
초음파검사를 받다가 우연히 갑상샘 결절을 발견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유방암처럼
국가
가 지정하는 조기검진 대상은 아니지만, 갑상샘 결절을 가진 사람이 워낙 많다보니 의사들도 ‘하는 김에’ 갑상샘 검사를 슬쩍 권하는 경우가 많다.초음파검사에서 갑상샘 결절을 찾으면 양성(단순한 혹)인지 ... ...
문화 따라, 같은 표정 다른 기분
과학동아
l
201405
대해, 미국인은 모두 비슷하게 구분했다. 하지만 힘바족은 각양각색으로 해석했다. 두
국가
에서 차이가 없는 표정은 기쁨과 공포뿐이었다. 연구팀은 “역겨움, 분노 등의 표정은 본능적인 게 아니라 문화적으로 표현한다는 뜻”이라며 ”인간의 기본 감정은 6가지가 아닐 수 있다”고 말했다 ... ...
대한민국은 결핵왕국? 교도소 결핵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405
치료받은 그들은 더 이상 결핵균을 옮기지 않았죠.이런 걸 보면 우리가 저개발
국가
의 결핵 문제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생각해보게 돼요. 우리가 알고 있는 경제적·윤리적 원칙은 과연 결핵 같은 전염병 문제를 다루는 데 합당한 걸까요? 그리고 2차 치료제는 여전히 그토록 비싸야만 하는 걸까요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