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갯수
수효
수리
수선
손질
수량
분량
d라이브러리
"
개수
"(으)로 총 866건 검색되었습니다.
π가 끝이 없는 수라는 걸 어떻게 아나?
수학동아
l
201108
그려 정육각형의 둘레의 길이를 원주라고 보면 원주율은 3이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변의
개수
를 두배로 늘려 정십이각형을 만들어 정십이각형의 둘레의 길이를 원주라고 보면 원주율은 정육각형일 때보다 더 정확해집니다. 아르키메데스는 정96각형의 둘레의 길이를 계산해서 원주율을 소수점 ... ...
각기 다른 ‘헤어스타일’
과학동아
l
201108
열쇠를 찾지 못하고 있다.지난 호에서 가장 특징적이며 눈으로 쉽게 확인되는 다리의
개수
나 형태로 목(目) 수준의 단계까지 정확하게 분류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이번 호는 외형적 특징으로 애벌레를 과(科) 수준까지 분류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생존을 위한 핵심 기술이 집적되어 있고 생존 전략을 ... ...
수학으로 변신한다!
수학동아
l
201108
도형이나 사물이 위치해 있을 때 그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실수의
개수
를 말한다. 예를 들어 2차원 범블비의 왼쪽눈의 위치를 알아보자. 그림과 같이 가상의 좌표가 있다고 가정할 때, 왼쪽 눈의 위치는 (3, 6). 즉 두 개의 수로 정확한 위치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범블비는 2차원 ... ...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
수학동아
l
201107
계수는 x와 y를 배열하는 방법의 수라고 할 수 있다. x와 y의 지수는 배열해야 하는 x와 y의
개수
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고를 바탕으로 조금 일반화 시켜 봤다. ${(x+y)}^{n}$의 전개식은 ${x}^{n}$+1${a}_{1}$${x}^{n-1}$y+${a}_{2}$${x}^{n-2}$${y}^{2}$+…+${y}^{n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07
배다리를 갖고 있는데 자나방과의 자벌레와 같은 그룹에서는 수가 감소했다. 배다리의
개수
가 3쌍으로 줄어든 이들은 축소된 발들이 앞부분에 달려 있어 잘 보이지 않거나 아예 없기도 한다. 식물 조직을 먹고 사는 애벌레들은 식물을 타고 다녀야 하므로 안정된 자세가 필요하고 그래서 대부분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07
64개가 예측해 해상도가 64배 증가한다. 예측 영역이 현재 모델의 7%에 불과하지만 격자
개수
는 4833만 240개로 현재 모델보다 3배 많다. 이 같이 해상도가 증가하면 태풍 중심 부근의 강풍과 강우대, 뇌전과 돌풍을 동반한 집중호우, 폭설 등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위험기상 현상들의 예측 정확도가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07
법칙(power law)’을 따른다는 사실을 확인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거품이 작을수록
개수
가 많았고, 클수록 적었다는 뜻이다. 멱함수 법칙은 지진의 규모처럼 자연현상에서 자주 확인할 수 있다. 지진도 작은 규모의 지진은 많이 발생하지만 큰 규모의 지진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멱함수는 y=x2과 ... ...
낯선 땅에서 만난 고려인 친구
수학동아
l
201107
지도를 보여준다.“지도에 있는 숫자는 그 숫자 주위를 둘러싼 네 점을 잇게 될 선의
개수
라네. 모든 점을 지나지 않아도 되고. 아마도 문제를 해결하면 시작과 끝이 연결된 어떤 구역이 나올 것 같네.”“이 구역이 무슨 의미인 거죠?”도형의 질문에 홍석은 어두운 표정으로 말한다.“다음 강제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07
포함한 보안 위협들의 새로운 전파 경로로 활용되고 있다. 트위터처럼 일정한
개수
의 문자만 입력해야 하는 서비스에서는 주소를 링크할 때 단축 URL을 자주 이용한다. 그런데 자료의 출처가 모두 주소에 담기지 않다보니 이용자는 이 주소가 정상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단축 URL의 유해성을 사전에 ... ...
북두칠성처럼 여름밤을 밝히는 행운의 수 7
수학동아
l
201107
홀수점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지. 점 A에 연결된 선의
개수
는 5개, 점 B, C, D에 연결된 선의
개수
는 3개니까 말이야. 그래서 오일러는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홀수점이 4개인 경우이므로 7개의 다리를 한 번씩만 건너서 모든 강변을 산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렸지.그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