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과학동아 l2008년 02호
- 단백질을 어떻게 없애거나 원상회복시키느냐를 알아내는 일이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랄프 페터슨 박사는 “프루시너 박사는 강한 반발에 부딪히면서 10년이 넘게 힘겨운 싸움을 계속해왔다”며 “프리온 가설로 스크래피, 쿠루병, 그리고 광우병에 관한 불가사의는 결국 해명됐고 ...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과학동아 l2008년 02호
- 지나가는 다른 별의 중력 때문에 궤도가 뒤틀린 사례가 종종 발견된다. 2000년 NASA에임스연구소 그레고리 롤린 박사팀은 이에 착안해 미래에 태양 주변을 지나가는 별의 영향을 시뮬레이션해 행성과학 분야 국제저널 ‘이카루스’에 발표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연구팀은 앞으로 35억 년에 걸쳐 태양 ... ...
- "경제와 삶의 질 원천은 기초기술"과학동아 l2008년 02호
- 천문연), 한국한의학연구원(한의연), 국가핵융합연구소(핵융합연), 국가수리과학연구소(수리연)처럼 기초기술과 관련한 정부출연연구원을 육성하고 관리하는 기관이다.유 이사장은 “국가 경제 발전에 기술 혁신이 중요한데, 그 원천이 바로 기초기술”이라며 “노령화 사회와 에너지 부족 시대를 ...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과학동아 l2008년 02호
- 주변 근육 세포 사이에서 신경전달물질처럼 매개 역할을 한다고 미국 유타대 뇌과학연구소 에릭 조르젠슨 교수팀이 생명과학분야 국제저널인 ‘셀’ 1월 11일자에 발표했다.조르젠슨 교수팀은 기생충의 일종인 ‘예쁜꼬마선충’이 배설하는 도중 장 세포에서 주변 근육세포로 양성자가 대량으로 ...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과학동아 l2008년 02호
- 기후 변화주기를 어떻게 바꿔놓을지는 전혀 예측할 수 없다.”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 김성중 박사의 말이다. 이산화탄소 같은 기체는 대기 중에 수백 년간 머물며 지속적으로 온실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에 미래의 기후를 변화시키는 강력한 변수다. 지난해 IPCC(정부간 기후변화위원회)는 ... ...
- 노벨문학상 수상자 암 치료한 차가버섯과학동아 l2008년 02호
- ▒ 겨울 산을 오르다 보면 낙엽이 지고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 있는 아름드리나무 군락이 나타난다. 여름 산행에서는 나뭇잎이 우거져 아무리 찾으려 해도 꼭꼭 숨어 있던 버섯들이 서너 길이 넘는 나무둥치나 가지 위에 바가지를 엎어 놓은 듯, 쪽박을 붙여 놓은 듯 말간 하늘 아래 나타난다. 우산 ...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과학동아 l2008년 01호
- 10월 6일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은 인간 유전체 해독에 앞장섰던 미국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CVI)의 과학자인 크레이그 벤터 박사가 합성염색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보도하면서 자극적인 문구를 기사의 제목으로 내걸었다.인간이 만든 최초의 새로운 생명체가 수주 이내에 탄생할 예정이라는 ... ...
- 대한민국 과학기술 이끌어갈 '알파우먼' 삼총사과학동아 l2008년 01호
- 때문에 언제 마약을 복용했는지 구체적인 시점까지 알 수 있다.2002년 그는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최초의 여성부장으로 임용됐다. 일을 사랑하고 열정적으로 몰입한 결과였다. “범죄와의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먼저 앞서가야 한다”고 말하는 그는 끊임없이 새로운 수사기법을 개발해 적용하고 ... ...
- 생명은 어떻게 진화했을까?과학동아 l2008년 01호
- 금을 캐다 얼어있는 아기 ‘코끼리’를 발견했다. 이 소식을 들은 러시아 동물학연구소는 그 동물이 코끼리가 아니라 4만 년 전에 살던 아기 맘모스의 미라라는 사실을 밝혔다. ‘디마’로 불리는 이 맘모스는 소화 안된 풀까지 위장에 남아있을 정도로 보존상태가 좋았다.그로부터 30년이 흐른 200 ... ...
- 과학자들의 친구 쥐과학동아 l2008년 01호
- 2008년은 무자년(戊子年), 쥐의 해다. 한국인은 연수를 셀 때 12간지를 기준으로 한다. 2007년은 돼지의 해고, 다음은 쥐, 소의 순서다. 특히 쥐(자, ... 협력기구에서 대규모로 실험쥐를 양산하기 때문입니다. 기술이 발전하면 머지않아 연구소에서 세포를 다루듯 쥐모델을 다루게 될 전망입니다 ... ...
이전3753763773783793803813823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