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d라이브러리
"
세상
"(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03. 정신질환, 예측하면 막을 수 있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한 인간으로서
세상
을 살아나가려면 자신과
세상
을 올바로 바라볼 수 있는 고차원적인 정신기능이 유지돼야 한다. 정신질환이란 이러한 능력에 일부 장애가 생겨 사회생활을 제대로 해나가지 못하거나, 심한 경우 스스로를 관리하고 돌보는 능력마저도 손상된 상태를 일컫는다. 정신질환의 원인은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하고 있다. 각종 제품을 점점 작게 만들어가면서 중력에서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
으로 점점 바뀌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표면장력이 일상생활 속으로 들어오게 된 계기는 1990년대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현상의 발견이었다. 전기로 표면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는 뜻을 가진 일렉트로웨팅 ... ...
황사박사 전영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어깨 너머 듣는 어른들의 대화도 영향을 줬다고 봐요. 아이들은 엄마 아빠의 대화를 통해
세상
눈을 뜨잖아요. 우리 애는 기상학에 일찍 눈을 뜰 수 있었던 거죠.황사를 연구한지 10년 됐는데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신가요?나의 평생 꿈은 황사에 대한 책을 쓰는 거예요. 남편은 2권을 쓰라더군요. ... ...
지구가 선사한 어린이날 선물,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날이 점차 어두워지자 동쪽하늘에는 둥근 보름달이 떠올랐다. 평소와 다름없이 밝게
세상
을 비추던 보름달은 자정을 넘기면서 점차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달의 한쪽면에 검은 그림자가 점차 드리워져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9일 새벽이 다가오면서 보름달은 어느새 사라지더니 붉은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별을 고하고 북쪽으로의 여행을 떠난다.“지구는 둥그니까 자꾸 걸어 나가면 온
세상
젊은이를 모두 만나보겠네.” 이 노래를 한번쯤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노래가사에서처럼 여행하는 땅덩어리들은 필시 지구 어딘가에서 또다른 땅덩어리와 만나게 된다. 한반도는 바로 이처럼 땅덩어리들의 ... ...
살아있는 물리학의 신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원자는 3가지 입자, 즉 양성자, 전자, 중성자로 이뤄져 있다. 무한히 다양해 보이는 이
세상
도 알고 보면 불과 1백여 종의 원소로 이뤄져 있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원자들이 그보다 더 많은 수의 소립자들로 나눠진다는 사실이다. 20세기 물리학계는 이런 현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설명해야할지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세포로 자랄 수 있어 생명체의 근간을 이룬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줄기세포가
세상
에 알려진 것은 채 10년이 되지 않았다. 1998년 10월 미국 위스콘신대 제임스 톰슨 박사와 존스홉킨스대 존 기어하트 박사는 인간의 배아로부터 줄기세포를 배양했으며 이 줄기세포로 신경세포, 심장근육세포 ... ...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무관하다’고 확신 있게 결론 내리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서양의 분석적 사고에서는
세상
일은 비교적 단순한 규칙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무관성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가 쉬워진다. 나이뿐만 아니라 교육과 같은 사회화 과정을 통해 동양적인 사고방식이 한국 문화 안에서도 의미 ... ...
내 목소리가 보인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슬기는 요즘 얼마전 극장에서 봤던 ‘반지의 제왕 ’이라는 영화에 푹 빠져있다.
세상
에 정말 절대 악이 존재한다면 어떻게 될까, 혹시 영화에서 나왔던 절대 반지를 현실 세계에서도 누군가 갖고 있는 것은 아닐까…. 급기야 그들은 꿈속에서 중간대륙의 반지원정대를 만난다.간달프 : 오늘은 ... ...
1백년 뒤에는 언어 절반 멸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데이빗 해리슨 교수는 “우리는 여러 언어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언어에 따라
세상
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방식이 상당히 다르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며 “따라서 언어의 소멸은 인간의 뇌가 보여주는 다양한 인지구조를 이해하는데 공백을 낳는다” 고 말했다.그러나 현재로서는 언어의 멸종을 ... ...
이전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