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두 번째 승리를 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00씩 넣었는데, 나오는 물질의 양은 1도 안 되는 거예요.또 촉매로 백금 같은 귀한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결과물을 만들 때까지 들어가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드는 문제도 있어요. 그래서 인공 광합성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많은 빛을 모으면서 값싸게 물질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답니다 ... ...
- [과학뉴스] 콧물로 간편하게 바이러스 감염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바이러스를 진단할 수 있었다. 감기의 원인 바이러스를 빠르게 확인하면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등 더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긴즈버그 박사는 “감염을 일으킨 병원체를 찾지 않고, 병원체에 대한 인체의 반응을 분석해 병을 알아내는 것으로, 진단의학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 ...
- [Issue] ‘괴물쥐’ 뉴트리아가 웅담 왕?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연고를 만들려고 하고요. 민간요법이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오소리 기름을 화상 치료에 사용해왔거든요. 실제로 경상대 연구팀은 뉴트리아 지방조직에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쓰일 수 있는 팔미틴산 성분을 검출해냈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뉴트리아는 모피용, 그리고 식용입니다. 1980~1990년대에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로, 흔히들 ‘2n’이나 ‘n’ 등으로 표현한다. 세레비지애와 함께 술 양조에 많이 사용되는 또 다른 효모, 사카로마이콥시스 피불리게라(Saccharomycopsis fibuligera)가 그렇다. 이 효모는 전분, 셀룰로오스, 단백질 등을 분해하는 효소가 많아 누룩 속 다른 미생물에게 필요한 영양물질을 많이 공급한다. ... ...
- [Career] 안전한 배터리 전기자동차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극저온에서도 작동이 가능해, 저온에서 액체전해질이 얼어서 성능이 떨어지거나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단점도 극복할 수 있다.장점이 많은 전고체 배터리지만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큰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성능이다. 분말 형태의 고체전해질은 액체전해질처럼 전극으로 고루 ... ...
- 앱 만드는 선생님 나훈희 교사수학동아 l2017년 04호
- 하니까 계속 개발에 힘쓸 생각이에요. 개인적으로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수업에 사용하니 정말 좋다!’고 평가받는 앱을 만들고 싶어요.”앱을 제작하는 것이 자기만의 수업 연구라는 나 교사. 힘들 때도 있지만 학생들이 즐겁게 공부하는 모습이 큰 보상이라고 전했다. 인터뷰를 마치며 나 ... ...
- [과학뉴스] 코뿔소는 똥으로 SNS를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최근 코뿔소들이 공동으로 쓰는 대변 더미가 SNS처럼 이용된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코뿔소는 코앞에 있는 물체도 구별하지 못 ... 참여한 코트니 마네웩 연구원은 “이 연구 결과는 왜 많은 동물들이 공동의 배변 장소를 사용하는지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라고 말했어요 ... ...
- [공룡은 왜?] 꼬리뼈에 이빨 자국이? 공룡의 사냥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사냥하며 살았을 것으로 알려져 있답니다.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은 사냥에 사용했던 가장 중요한 무기였어요. 이빨 끝에 나 있는 톱니모양은 먹잇감의 살점을 도려내기에 알맞아요. 또 뾰족하게 휘어진 발톱 끝 부분은 사냥감의 몸에 치명적인 상처를 낼 수 있었지요. 해남공룡박물관에서 전시된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두 시리의 내장 기억장치에 각각 저장됐으며, 언제든지 이 정보를 꺼내 확률을 계산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월요일에 켜진 시리는 ‘자신이 시리 A일 확률’이 얼마라고 생각해야 할까요? 독자의 선택잠에서 깬 공주가 왕자가 던진 동전이 앞면이 나왔을 확률이 뭐라고 해야 할지 ... ...
- [과학뉴스] ‘청정구역’ 마리아나 해구까지 오염됐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은 냉각수와 단열물질에 사용하던 물질로 1970년대에 이미 사용이 금지됐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아 동물의 몸에 축적돼 먹이사슬을 타고 상위 포식자로 전해진다. 연구팀은 이 물질이 죽은 동물이나 플라스틱 쓰레기에 붙어 흘러들어 심해를 오염시켰을 거라고 ... ...
이전375376377378379380381382383 다음